728x90
반응형

 

 

완전 범죄? 완벽한 소설을 꿈꾸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절망』은 제목만큼이나 강렬하고 아찔한 소설이다. 폭포처럼 쏟아지는 말의 더미 속에서 ‘분신’과 ‘범죄’가 포착된다. 하지만 환상적인 고딕풍의 범죄소설이 펼쳐지리라는 독자의 예상은 여지없이 빗나간다. 주인공 게르만 카를로비치는 베를린에 살고 있는 서른여섯 살의 러시아계 독일인으로 변변찮은 초콜릿 사업자이다. 1930년 5월9일, 업무차 프라하에 들렀던 그는 풀밭에서 자고 있는 한 부랑아가 자신과 무척 닮았음을 확신하고서 모종의 영감에 휩싸인다. 문학 속의 분신을 현실로 불러내듯 문학 속의 범죄를 자신의 삶 속에서 실현하는 것. 분신이라는 개별성과 유일성을 위협하는 요소를 이용해 전대미문의 독창적인 범죄를 저지르는 것.

그 과정에서 많은 거짓말이 창조된다. 펠릭스를 꾀기 위한 현란한 수다는 물론이거니와 아내 리다 앞에서 거국적으로 털어놓는 동생 이야기는 한 편의 소설에 가깝다. 게르만의 미학적 환희가 극점으로 치달아갈수록 두드러지는 것은 그의 자기기만이다. 펠릭스는 정말로 그와 닮았는가. 그의 범죄는 정말로 ‘무관심’과 ‘무목적’의 행위(예술)인가. 혹시 기울어져가는 사업을 만회하려는 속된 욕망이 깔려 있는 것은 아닐까. 리다와 아르달리온의 ‘부적절한’ 관계는 또 어떠한가. 이런 식의 거짓을 전혀 몰랐다면 그는 나보코프의 소설에 곧잘 등장하는 눈 뜬 장님인 것이고, 만약 알았다면, 알고도 죽였다면 정녕 희대의 악당인 것이다.

파리의 한 호텔에서 범행의 기록에 열중하던 중 게르만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죄와 벌』을 언급한다. 라스콜니코프를 괴롭힌 묵직하고 날카로운 감각, 즉 ‘수치’ 대신 경쾌한(혹은 이렇게 가장한) 유희가 전면에 나선다. 중요한 것은 살인 자체가 아니라 그 과정에서 탄생하는 소설이다. “언젠가 제목을 붙였던 것 같은데. 뭐더라, 무슨 무슨 ‘수기’라는 말로 끝났다. 그러나 누구의 수기인지 기억나지 않았다. 아무튼 ‘수기’는 끔찍이도 진부하고 따분하다. 제목을 뭐로 한다? ‘분신’? 하지만 그런 제목은 이미 있다. (중략) 닮음? 인정받지 못한 닮음? 닮음의 옹호? 좀 건조하고 철학적인 경향이 있다.” 멀쩡한 사람을 죽여놓고서 미학을 논하고 그것에 탐닉하는 것, 이것이 ‘보석금을 얼마를 내든 결코 잠시라도 지옥에서 풀려날 수 없는’ 악당 게르만의 ‘죄’이다. 그렇다면 ‘벌’은?

게르만의 살인-예술은 너무나 하찮은 물건(펠릭스의 이름과 출신지가 새겨진 지팡이) 때문에 추악한 실패작이 되고 만다. “나는 사형수의 미소를 지었소. 그리고 고통스러워 비명을 질러대는 뭉툭한 연필로 첫 페이지에 재빨리 그리고 단호하게 ‘절망’이라는 단어를 썼소. 이보다 나은 제목은 찾을 수 없소.” 자신의 원고가 천재적인 소설은커녕 기존 문학 작품의 조잡한 모방 내지는 어설프고 애처로운 패러디, 간단히 ‘쓰레기 더미’일 뿐이라면 절망하지 않을 작가가 어디 있으랴. 절망에서 가장 명민한 인물인 아르달리온의 지적대로 위장 살인으로 보험사를 속이는 수법은 물론이거니와 “이 피투성이의 혼란상과 혐오스러운 미스터리”, “음울한 도스토옙스키적 성향” 등 모든 것이 부실하다. 무엇보다도, 게르만이 유달리 집착을 보였던 ‘닮음’과 그것을 통해 증명하고자 했던 ‘유일성(천재성)’의 강박관념에 대해 아르달리온은 세상에 닮은 사람은 없다는 논리로 맞선다. “모든 얼굴은 유일무이”하기 때문이다.

나보코프가 러시아 문학의 적자로서 가진 자부심은 대단한 것이었다. 동시에 그는 러시아 문학 특유의 ‘억압(도덕 정치 종교 등)’으로부터 자유를 선언했으며, 온갖 이데올로기를 비워냄으로써 문학을 오롯이 문학이게끔 하고 작가를 예술에만 헌신하는 독특한 성직자이게끔 했다. 그의 이른바 미학 선언이 나온 맥락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그는 러시아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의 후예로서 볼셰비키혁명 때문에 영원히 조국을 떠나야 했다. 또 항상 존경해온 아버지가 이 정치적 격동의 어이없는 희생양이 됐다. 그가 그토록 아낀 러시아 문학은 아무리 독특한 해석의 잣대를 갖다 댈지라도 예의 그 ‘억압’까지 포함하는 문학이다.

나보코프는 두둑한 문화 자본에 덧붙여 천재적인 언어 조탁 능력을 타고난 작가였다. 성실성과 감수성을 겸비한 문학 연구자에 까다로울 정도로 꼼꼼한 번역가이기도 했다. 소설가로서 그가 염두에 둔 것은 문학사와의 대결이었던 것 같다. 유럽에서 망명생활을 하며 쓴 『절망』은 “열병으로 인한 발작성 정신이상과 자존감 상실로 인한 일탈 행동 분야의 우리 전문가”인 도스토옙스키에게 던지는 도전장이다.

거장을 향한, 젊은 작가의 질투가 느껴지기도 한다. 어떻든 이 지점에서 나보코프의 문학이 시작된다. 그의 서사 전략, 즉 각종 유희는 결코 얄팍한 허영의 산물이 아니라 문학사에 대한 깊은 통찰, 나아가 문학사 없이는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절망(!) 이후에 나온 존재의 형식이다.

그것이 매혹적인 것은 삶의 샘물에서 곧장 퍼 올린 투명한 문학(가령 푸시킨)에 대한 동경이 영원히 잃어버린 유년의 뜰(러시아)에 대한 향수처럼 깔려 있기 때문이기도 하겠다.

김연경 소설가

---------------------------------------------------------

보험금 타내려 완전 범죄 꾸미는데…

♣'절망'줄거리

20세기 문학의 거장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초기 대표작. 나보코프에게 확고한 작가적 명성을 안겨준 소설 『절망』은 그가 쓴 러시아어 소설 중 가장 뛰어난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힌다. 베를린에서 망명생활을 하던 시절 발표한 작품으로 1931년 독일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살인 사건을 단초로 집필했다. 주인공은 자신의 치밀한 살인 계획을 ‘예술 작품’으로 여기며 살인의 과정을 기록하는데, 작가는 자칫 진부한 범죄 이야기를 풍부한 문학적 장치가 수반된 긴장감 넘치는 작품으로 재탄생시킨다. ‘도플갱어’를 소재로 한 추리소설의 틀 내에서 후에 『롤리타』에 등장하는 천재와 악(惡), 진정한 재능과 거짓 재능, 죄와 벌 등 문학의 영원한 주제들을 독창적으로 풀어낸다. 나보코프식 유희와 서사의 마법이 충만하게 펼쳐진 걸작으로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초콜릿 사업을 하는 독일계 망명 러시아인 게르만 카를로비치는 1920년대 중엽 베를린에서 행복하고 평화로운 삶을 산다. 어느 날 출장 중에 한가로이 교외를 거닐던 게르만은 풀밭에서 잠들어 있는 부랑자 펠릭스와 마주친다. 그는 자신을 완벽하게 닮은 부랑자를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자신의 분신을 만난 게르만은 보험금을 탈 목적으로 완전 범죄를 계획하고 실행에 옮긴 다음 세상에 자신의 천재성을 알리기 위해 사건을 기록한다. 자신이 쓴 이야기를 다시 읽던 주인공은 자신의 기발한 계획에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인 실수가 있었음을 발견하고 충격과 공포에 사로잡히는데……

원제:Отчаяние

저자:Vladimir Nabokov(1899~1977)

발표:1936년

분야:러시아 문학

한글번역본

제목:절망

옮긴이:최종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071(2011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