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菜 根 譚 (채근담) 후집 124장/깨달음이 없으면 참맛도 없다 栽花種竹, 玩鶴觀魚, 又要有段自得處. 재화종죽, 완학관어, 우요유단자득처. 若徒留連光景, 玩弄物華, 亦吾儒之口耳, 釋氏之頑空而已, 약도류련광경, 완롱물화, 역오유지구이, 석씨지완공이이, 有何佳趣? 유하가취? 꽃을 가꾸고 대나무를 심으며 학을 즐기고 물고기를 바라보더라도, 모름지기 일단의 깨닫는 것이 있어야 한다. 만약 헛되이 그 광경에 빠져서 물건의 화려함만을 즐긴다면, 또한 우리 유가의 구이지학이요, 불가의 완공일 뿐이니, 어찌 아름다운 벗이 있겠는가. * 구이지학; 마음으로 깨닫지 못하고 귀로 들은 것을 그저 입으로만 주워 섬기는 학문 * 완공; 세상만물을 일체 공으로 보는 소승불교의 입장 구이지학(口耳之學)이란 양자(楊子)의 법언(法言)에 '小人之學也入乎耳出乎口 口耳之問則四寸耳 曷足以美七尺之軀乎' '소인의 학문은 귀로 들어와 입으로 나간다 입과 귀 사이에는 네 치일 뿐이니 어찌 족히 일곱 자의 몸을 아름답게 할 수 있으리요'란 구절이 있다. 또 완공(頑空)이라 함은 소승불교의 견해로 '만물은 일체의 공'이라는 관념을 가지고 사람을 피하고 세상을 등짐으로써 홍익인간의 정신이 결여된 완고함을 뜻한다. 비록 세속을 떠나 은둔생활을 즐긴다 하더라도 자연속의 참진리를 터득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아무 의미도 없다는 뜻이다. |
728x90
반응형
'★ 채근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채근담(菜根譚)전집 제126] ☆ (0) | 2016.02.11 |
---|---|
☆[채근담(菜根譚)전집 제125] ☆ (0) | 2016.02.10 |
☆ [채근담(菜根譚)전집 제123] ☆ (0) | 2016.02.07 |
☆ [채근담(菜根譚)전집 제122] ☆ (0) | 2016.02.06 |
☆ [채근담(菜根譚)전집 제121] ☆ (0) | 2016.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