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양봉래(楊蓬萊)의 선종암(仙鍾巖)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鏡裏芙蓉三十六 경리부용삼십육

天邊螻䯻萬二千 천변루고만이천

中間一片滄洲石 중간일편창주석

可以言詩此百年 가이언시차백년

 

 

거울속 부용은 서른 여섯인데

하늘가에 바라뵈는 일만 이천 봉

그 가운데 한조각 창주석에는

한 백년 동안에 시라고 말할 수가 있다오

 

 

박 상공(朴相公)이 끝구절을 고쳐,

 

 

合著東來海客眠  합저동래해객면

 

동녘에 온 해객이 졸기에 합당하네

 

 

하자, 봉래가 온당하다고 하여 드디어 고치고 나중에 지천(芝川 황정욱(黃廷彧)의 호)

황 상공(黃相公)에게 말하니

상공이, “이는 공의 시어(詩語)가 아니니 바른 대로 말하시오”

하므로 봉래가 지천의 식견에 크게 탄복했다. 지천은 봉래를 잘 알아보는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

 

박 상공(朴相公)의 이름은 순(淳), 자는 화숙(和叔), 호는 사암(思庵), 충주인(忠州人)이며 벼슬은

영의정이고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사암의 퇴계 선생이 남으로 돌아감을 전송하며[送退溪先生南還]라는 시는 다음과 같다.

 

 

鄕心不斷若連環 향심부단약연환

一騎今朝出漢關 일기금조출한관

寒勒嶺梅春未放 한륵영매춘미방

留花應待老仙還 유화응대노선환

 

 

고향생각 끊임없어 고리인 양 이어지니

한필 말로 오늘아침 한관 떠나네

추위에 고갯매화 봄인데도 못 피니

늦은꽃 응당 늙은 신선 돌아오길 기다리리

 

총병(總兵) 양조(楊照)의 사당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鐵衣金劍已塵沙 철의금검이진사

廟間松杉噪夕鴉 묘간송삼조석아

惆悵漢家飛將死 추창한가비장사

胡笳頻度白狼河 호가빈도백낭하

 

 

철갑옷 금빛칼도 이미 흙이 되었고

사당집 소나무 전나무엔 저녁 까마귀 지저귀네

슬프다 중국 날센 장수 죽었으니

갈대 피리 소리만 백낭하 자주 넘네

 

청풍(淸風) 한벽루(寒碧樓) 시는 다음과 같다.

 

 

客心孤廻自生愁 객심고회자생수

坐聽江聲不下樓 좌청강성불하누

明日又登官道去 명일우등관도거

白雲紅樹爲誰秋 백운홍수위수추

 

 

나그네 그리움 외로이 절로 시름 생기니

앉은 채 강물소리 듣노라 다락에서 내려올 줄 모르네

내일 또 벼슬길로 가버린다면

흰 구름에 단풍은 누구 위한 가을일꼬

 

 

견 상인(堅上人)에게 보내는 시는 다음과 같다.

 

 

久沐恩波役此心 구목은파역차심

曉鷄聲裏戴朝簪 효계성리대조잠

江南野屋今蕪沒 강남야옥금무몰

却倩山僧護竹林 각천산승호죽림

 

 

오랫동안 입은 은혜이기에 이 마음 궁리 많아

새벽 닭소리에 조회 나갈 비녀를 꽂네

강남 땅 들집은 하마 황폐했겠지

산승을 고용하여 대밭을 돌보게 했네

 

 

짧은 거문고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谷鳥時時聞一箇 곡조시시문일개

匡床寂寞散群書 광상적막산군서

可憐白鶴臺前水 가련백학대전수

纔出山門便帶淤 재출산문편대어

 

 

이양정(二養亭) 벽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산새 소리 어쩌다 외마디 들리고

침상은 쓸쓸해라 여러 책 흩어졌네

가엾어라 백학대 앞 저 물도

산문을 나서자 이내 진흙 머금으리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