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墨梅(묵매) - 尹善道(윤선도)
먹으로 그린 매화

物理有堪賞(물리유감상)
捨梅聚墨梅(사매취묵매)
含章知至味(함장지지미)
令色豈良材(영색기양재)

 
自晦追前哲(자회추전철)
同塵避俗猜(동진피속시)
回看桃與李(회간도여리)
猶可作輿臺(유가작여대)

사물의 이치에는 감상할 만한 것도 있어
매화 대신 먹으로 그린 매화 그림을 취했네.
깊은 의미를 함축한 표현은 지극한 멋이 있으니
겉모양만 화려하다고 어찌 다 좋은 재목이리요.


스스로를 감추고 옛 성현들 따라
세속에 함께 묻혀 시기질투 피하네.
화려한 복숭아와 오얏나무를 돌아보면
오히려 그것이 시중을 든다네.



윤선도 [尹善道1587(선조 20)~1671(현종 12).] :조선 문신·시조작가로 정철·박인로와 더불어 조선 3대 시가인(詩歌人)의 한 사람으로, 서인(西人) 송시열에게 정치적으로 패해 유배생활을 했다.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해옹(海翁). 부정공(副正公) 유심(唯深)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시문집 <고산유고〉하별집(下別集)에 시조 및 단가 75수가 〈산중신곡 山中新曲〉 18수, 〈산중속신곡 山中續新曲〉 2수, 기타 6수,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40수, 〈몽천요 夢天謠〉 5수, 〈우후요 雨後謠〉 1수 순서로 실려 전한다. 〈산중신곡〉 18수 가운데 〈오우가 五友歌〉는 물·돌·소나무·대나무·달을 읊은 시조로 널리 애송되었다.

〈어부사시사〉는 효종 때 부용동에 들어가 은거할 무렵에 지은 것으로, 봄·여름·가을·겨울을 각각 10수씩 읊었다. 그의 시조는 시조의 일반적 주제인 자연과의 화합을 주제로 담았다. 우리말을 쉽고 간소하며 자연스럽게 구사하여 한국어의 예술적 가치를 발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숙종 때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