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over Story] 자본시장 60년…10대 경제대국 '초석'


자본은 경제의 혈액이다. 자본이라는 혈액이 끊임없이 공급되고 순환해야 경제가 살아 숨쉰다. 기업을 세우고, 신제품을 개발하고, 유통망을 넓히고, 투자를 확대하는 것도 자본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 한국이 6·25전쟁이라는 민족적 비극을 딛고 경제의 초석을 다질 때도 최대의 관건은 자본이었다. 경제 재건의 토대가 바로 ‘자본의 축적’이었던 셈이다. 자본시장(capital market)은 이런 자본(자금)이 조달되는 유·무형의 시장을 일컫는다.

한국은 증권업협회(현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설립된 1953년을 자본시장의 태동으로 본다. 이를 기반으로 1956년엔 주식을 사고파는 ‘공동의 시장’인 거래소(당시 대한증권거래소·현 한국거래소)가 탄생했다. 곡절 많았던 한국 자본시장이 올해로 탄생 60주년을 맞은 것이다. 1945년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됐지만 6·25전쟁 발발 때까지 증권사는 단 한 곳뿐이었다. 한국 자본시장의 뿌리가 얼마나 얕은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하지만 60년 동안 자본시장은 외형도, 질적으로도 눈부시게 성장했다. 이 기간 한국 경제가 도약한 것도 자본시장의 뒷받침이 있기에 가능했다. 자본시장이 기업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는 ‘젖줄’ 역할을 톡톡히 한 덕이다.

글로벌시대에는 자본시장도 예외가 아니다. 국내 증시와 외환시장에서 외국인들의 영향력은 엄청나게 커졌고, 때론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만드는 변수로 작용한다. 물론 외국인들은 국내에 새로운 돈을 공급하는 ‘자금원’이기도 하다. 한국 금융업도 세계로 비즈니스 무대를 넓혀간다. 한마디로 자본시장에 국경이라는 ‘문턱’이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글로벌화는 자본시장에도 기회이자 위기인 것이다.

짧은 역사에 눈부신 성장을 한 한국 자본시장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 단적인 예로 지구촌에서 ‘메이드 인 코리아’의 기치를 높이고 있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와 같은 기업들을 금융분야에서는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한국의 자본시장 영향력도 제조업에 한참 못 미친다. 글로벌 투자은행(IB) 육성, 아시아의 금융허브도 아직은 야심찬 슬로건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나친 규제를 억제하고 금융기업들에 자율권을 확대해야 자본시장이 한 단계 더 성숙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제의 혈관인 자본시장이 발달해야 피(자금)가 원활이 돌고 경제성장이 탄력을 받는다. 4, 5면에서 자본시장의 역할과 의미, 자본시장과 관련된 용어 등을 상세히 살펴보자.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鬪狗行          개떼들

     

                                       조지겸 趙持謙


                                       1639년(인조 17) ~ 1685년(숙종 11)

    衆狗若相親          개떼들 친하게 지낼 때에는

    搖尾共行止          꼬리 흔들며 어울려 다니지만

    誰將朽骨投          누군가가 썩은 뼈다귀 하나 던져주면

    一狗起衆狗起       한마리 두마리 일어나 우루루 달려가

    其聲은은의우牙    이빨 드러내고 으르릉 먹이 다투어

    大傷小死何紛紛    큰 놈은 다치고 작은 놈은 물려 죽지

    所以貴騶虞          그래서 추우를 참 고귀하다 하는 거야

    高臥天上雲          구름 위에 높이 누워 유유자적하니깐

    은은(犬+言, 犬+言)
    의(犬+示)
    우(口+牛)
    추우(騶虞) : 인자한 성질을 지녔다는 전설상의 짐승.

     

 


    인간들도 개떼와 같습니다.
    아무 문제없이 친하게 지낼 때에는
    서로 듣기 좋은 말만 하고
    다정한 척 합니다.
    그러나 이해관계가 걸린 일이 눈앞에 있으면
    물불 가리지 아니하고 달려갑니다.
    마치 개떼처럼 말입니다.
    이익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아수라장이 됩니다.
    결국 인간사회의 온갖 갈등도
    뼈다귀를 차지하기 위한 개들의 아귀다툼과 다를바 없습니다.

    조지겸은
    자는 광보(光甫)이고 호는 우재(迂齋)입니다.
    위의 시는 그의 문집 <우재집(迂齋集)>에 실려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채근담(菜根譚)전집 제99장]
 
 역경에서의 고통은 모두 약이 된다 

居逆境中,周身皆鍼폄藥石,砥節礪行而不覺.
거역경중,주신개침폄약석,지절려행이불각.

處順境內,眼前盡兵刃戈矛,銷膏磨骨而不知.
처순경내,안전진병인과모,소고마골이부지.

역경(逆境)속에 있을 때에는 그 주위가 모두 침(針)이요,
약(藥)이라, 절개와 행실을 갈고 닦게 되어도 이를 깨닫지 못하며,

순경(順境)속에 있을 때에는 눈앞이 모두 칼과 창이라.
기름을 녹이고 살을 깍아도 그를 알지 못하느니라.

[해설]

불운한 역경에 있을 때 사람은 갖가지 괴로움과 슬픔을 겪는다.
그러나 이러한 시련은 자기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스스로를
각성케하고 반성케 할 뿐만 아니라 사색과 궁리를 심화함으로써
자기의 도덕적 인격과 행동을 연마하는 것이 된다. 이와 반대로
행운의 때를 만나서 만사 뜻대로 되는 경우에는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없다. 그러나 자기를 즐겁게 해 주고 기쁘게 해 주는
모든 것은 창과 칼과 같은 것이어서 자기의 뼈를 깍고 살을 녹이는
것이지만 스스로는 이것을 모르고 있으니 순경 속에서의 모든
쾌락은 인격적인 자아를 손상시키는 것이므로 경계할 필요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제 408 회 경제상식퀴즈

1.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가공식품에 이것을 쓰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키로 했다.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한 것으로, 식품 저장 기간을 늘리고 맛을 높이지만 인체에 해롭다는 지적을 받는 이것은?

2. 불황 때는 돈을 최대한 아끼면서 품위를 유지하려는 사람들에게 저렴한 미용용품이 잘 팔린다는 속설을 ‘이것’ 현상이라 부른다. 1930년대 미국 대공황기에 만들어진 이 말에 등장하는 제품은?

3. 기업을 포함한 경제주체가 갖고 있는 자산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최근 동부그룹이 ‘이것’ 위기설을 불식시키기 위해 고강도 자구책을 내놓기도 한 이것은?

4. 땅이나 건물 위의 하늘을 개발할 수 있는 권리다. 최근 미국과 일본이 재정 부담을 덜기 위해 이것의 거래를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아 눈길을 끌었던 이것은?

5.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이것’을 적용받고 있는 두부를 대상에서 빼 달라고 동반성장위원회에 요청했다. 대기업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으로부터 중소기업을 보호한다는 목적에서 2011년 도입된 이 제도는?

6. 증시 안정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서킷브레이커’라는 게 있다. 코스피 또는 코스닥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 이상 하락한 상황이 1분 이상 지속되면 주식 거래를 20분간 중단시킨다. 빈칸에 맞는 숫자는?

7.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단기간에 지나치게 급락하는 상황을 뜻하는 말은 무엇일까?

8. 사회적 논란 속에 개국한 이 방송이 2년이 넘도록 파행 운영과 낮은 시청률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유료방송 채널의 하나지만 뉴스, 교양, 오락 등 모든 프로그램을 내보낼 수 있어 지상파와 비슷한 이 채널은?

  1. ① 의무전송채널

-----------------------------------------------------------------

 

☆강현철의 시사경제 뽀개기

[강현철의 시사경제 뽀개기] 정보 비대칭에 따른 '모럴 해저드' 막는 스톡옵션

스톡옵션과 정보의 비대칭

15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주최 ‘스톡옵션 과세 개선을 위한 간담회’에서 전문가들은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스톡옵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형태근 동양대 석좌교수는 “벤처기업엔 (우수 인재를 끌어들일 방법이) 스톡옵션밖에 없는데 그것도 안 하면서 무슨 창조경제를 얘기하느냐”고 말했다. - 11월16일 연합뉴스

☞ 스톡옵션(stock option)은 기업이 임직원들에게 부여한 자기 회사 주식(자사주) 매입 권리를 뜻한다. 주식매수선택권 또는 주식매입선택권이라고 한다. 자사주를 일정한 가격으로 일정 수량 살 수 있는 권리다. 자사주 매수 가격은 시세보다 낮거나 액면가가 보통이다.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아무 때나 스톡옵션을 행사해 주식을 팔 수 있다. 스톡옵션 행사가격(자사주 매입 가격)이 시세보다 싸기 때문에 스톡옵션을 받은 임직원이라면 상당한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스톡옵션 행사가격이 주가보다 비싸다면 스톡옵션을 행사하지 않아도 된다.

가령 A라는 상장사가 회사에 꼭 필요한 인재 B를 영입하기 위해 B에게 3년 후 주당 1만원의 가격에 3만주의 자사주를 살 수 있는 스톡옵션을 부여했다고 하자. 현재 A사의 주가는 2만원이다. B가 스톡옵션을 받고 A사에 입사해 3년이 지났는데 A사 주가가 입사 때와 마찬가지인 2만원이라면 A는 스톡옵션을 행사해 A사 주식을 주당 1만원에 3만주를 사 주당 2만원에 증시에서 팔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주당 1만원씩 3억원의 차익을 얻게 된다. 만약 B가 더 열심히 일해 회사 실적이 좋아지면 주가는 2만원 이상으로 오를 수 있고 그렇게 되면 B가 스톡옵션 행사로 얻는 차익은 더 커진다.

비상장회사도 마찬가지다. C라는 비상장사가 D라는 인재를 영입하면서 3년 후 주당 3000원에 3만주의 자사주를 살 수 있는 스톡옵션을 부여했다고 하자. C사의 경영이 잘돼 3년 후 주식이 상장되고 주가가 주당 1만원에 형성됐다면 D는 주당 7000원씩 2억1000만원의 스톡옵션 차익을 거둘 수 있다.

위의 사례에서 보듯 스톡옵션은 유능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훌륭한 수단이다. 스톡옵션은 또 기존 임직원들에게도 부여할 수 있다. 임직원들로선 보다 열심히 일하는 유인책이 된다.

스톡옵션은 국내에선 1997년 4월 처음 도입됐으며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됐다. 스톡옵션이 일반화된 미국의 경우 전문 경영인들이 스톡옵션을 통해 본봉보다 더 많은 소득을 올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래서 종종 너무 과도한 스톡옵션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스톡옵션은 경제학에서 정보의 비대칭과 관계가 있다. ‘주인과 대리인 문제’가 그것이다. 기업 경영에선 주인과 대리인이 존재한다. 주인은 주주다. 임직원들은 주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주주의 이익을 위해 일해야 하는 대리인이다. 하지만 기업 경영에 관한 정보에선 주주와 임직원 간 차이가 있다. 임직원들이 주주보다 경영 정보를 많이, 보다 정확하게 아는 것이다. 이른바 정보의 비대칭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선 대리인인 임직원들은 때론 주주의 이익보다는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주요 경영 사항을 결정할 가능성이 있다.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 현상이다. 이런 모럴 해저드를 막으려면 임직원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든지(채찍), 보상을 많이 하든지(당근) 해야 한다. 스톡옵션이나 성과급 등은 바로 기업 경영에서 정보의 비대칭에 따른 모럴 해저드를 방지하는 한 수단이 된다.

하지만 현행 스톡옵션 제도는 너무 까다롭게 돼 있어 별 쓸모가 없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특히 비상장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이런 목소리가 나온다. 여기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세금이다. 스톡옵션을 받은 임직원들은 주식을 팔기도 전에 세금을 내야 한다. 세무서가 자사주의 평가가치와 행사가격의 차이를 소득으로 간주해 최고 38%의 세금(주민세 포함)을 물리기 때문이다. 비상장 벤처기업 임직원의 경우 아직 상장되지도 않은 회사의 주식을 사기도 버거운데 세금까지 내라고 하니 설상가상이다.

기업 입장에도 스톡옵션 제도에 문제가 있다. 스톡옵션은 회계상 비용으로 처리된다. 실제로 돈을 쓰는 게 아닌데도 회계장부에 돈이 나간 것처럼 기재해야 한다. 이러면 회사 순익이 줄고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미친다. 스톡옵션을 받는 임직원들도, 스톡옵션을 주는 회사도 스톡옵션으로 오히려 손해를 보고 있으니 스톡옵션이 가진 장점이 빛을 바래고 있는 것이다. 이게 2만9000개의 벤처기업 중 스톡옵션을 행사한 곳이 59개에 불과한 이유다. 스톡옵션은 경제의 활력을 높일 수 있는 한 수단이다. 문제가 있다면 고쳐야 한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 만들기’가 위기 극복의 비결


아일랜드 부활의 교훈

아일랜드가 다음달 구제금융에서 졸업한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재무장관 협의체인 유로그룹은 14일 아일랜드와 스페인이 구제금융 체제에서 벗어난다고 공식 발표했다. 두 나라 모두 자생적 회복 차원에서 ‘크레디트 라인(정해진 한도 내에서 자금을 수시로 빌리고 갚는 신용공여제도)’은 신청하지 않기로 했다. - 11월16일 한국경제신문

☞ 아일랜드가 경제위기를 딛고 3년 만에 부활했다. 1997년 외환위기를 당했던 한국이 3년여 만에 위기를 극복한 것과 비슷하다. 인구 450만명인 북대서양의 작은 섬나라 아일랜드가 이처럼 빨리 위기에서 벗어난 동력은 무엇일까?

아일랜드는 위기 이전까지만 해도 ‘켈틱 타이거(Celtic Tiger·켈트족 호랑이)’로 불렸다. 금융업과 부동산 호황을 등에 업고 연평균 7%의 고성장을 이뤘다. 1인당 국민소득도 4만달러를 뛰어넘었다. 하지만 2008년 가을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본격화된 미국발 금융위기는 아일랜드를 추락시켰다. 달러화는 순식간에 빠져나갔고 부동산 버블은 꺼졌다. 남은 건 빚뿐이었다.

2010년 아일랜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30%를 웃돌았고, 그해 11월 유럽연합(EU)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 채권단에 850억유로의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신세로 전락했다.

이런 아일랜드가 다시 부활한 것은 뼈를 깎는 고통을 감내한 덕분이다. 외환위기 당시 한국이 임금 삭감과 금 모으기 운동 등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것과 비슷하다. 2011년 3월 집권한 중도우파의 케니 총리는 24% 수준이던 법인세를 유럽 최저 수준인 12.5%까지 낮추고, 임금 등 노동비용도 2008년 대비 25% 줄였다. 그러자 애플 등 다국적기업의 투자가 늘어났다. 외국 기업이 아일랜드에서 만든 일자리는 지난 한 해 1만2000개에 달했다. 또 공무원 수를 10% 줄이고 복지도 축소했다. 2010년 30.9%에 이르던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내년 4.8%, 2015년엔 2.9%까지 낮출 수 있게 됐다.

아일랜드 국가부채는 GDP 대비 125%로 높다. 실업률도 14%에 달한다.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아일랜드의 교훈은 경제 회생의 길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사람들이 열심히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데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일깨우고 있다.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hckang@hankyung.co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중년 인기가요 모음

 

01. 이필원 - 추억
02. 한경애 - 타인의 계절
03. 진미령 - 소녀와 가로등
04. 이춘근, 유익종 - 어서말을해
05. 임희숙 - 돌아와주오
06. 패티김 - 그대 없이는 못살아
07. 정수라 - 환희
08. 최진희 - 미련 때문에
09. 유상록 - 그녀가 처음 울던 날
10. 패티김 - 이별

11. 조용필 -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12. 바니걸스 - 그냥갈 수 없잖아
13. 딱다구리 앙상블 - 지울수 없는사랑
14. 박상규 - 웃으면서 보내마
15. 김정호 - 나그네
16. 한세일 - 모정의 세월
17. 장계현과 템페스트 - 햇빛 쏟아지는 벌판
18. 구창모 - 문을열어
19. 김태곤 - 아리아리 아라리요
20. 함중아 - 삼백초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