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기적’을 이끈 남덕우 전 국무총리가 지난 18일 오후 9시55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고(故) 남 전 총리는 수년간 전립선암을 앓아왔다. 최근 노환이 겹치면서 병세가 악화돼 강남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으나 결국 유명을 달리했다. 향년 89세.
고인은 1945년 국민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경제학 석사,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시절이던 1964년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발탁돼 제24대 재무부 장관이 됐다. 이후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제14대 국무총리 등 14년간 공직 생활을 하면서 한국의 산업화를 주도했다.
공직에서 물러난 후 1983년부터 제18~20대 한국무역협회장을 지냈다. 이 기간 동안 서울 삼성동 종합무역센터와 코엑스전시장 등 무역 인프라를 만들었다. 별세 전까지 한국선진화포럼 이사장과 전국경제인연합회 원로자문단 좌장, 무협과 산학협동재단 고문 등으로 활발히 활동했다.
#한국 산업화의 일등 공신
‘운명이다. 할 수 없다.’ 1969년 10월 남덕우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납덩이같이 가라앉은 마음으로 스스로를 타이르며 청와대로 향했다. 관료가 된다는 것 자체가 실감나지 않았던 그에게는 축하 인사도 어색하게만 느껴졌다. 장관 임명장을 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남 교수에게 다가왔다. “남 교수, 그동안 정부가 하는 일에 비판을 많이 하던데, 이제 맛 좀 봐!” 주위에서는 웃음이 터져나왔다. 1982년 국무총리에서 물러날 때까지 14년간 계속된 그의 공직 생활은 이렇게 시작됐다.
고인은 1969년 박 전 대통령의 부름을 받아 재무부 장관으로 전격 임명됐다. 당시는 산업화를 위한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한창 진행되던 때였다. 장관 임기가 끝나면 대학강단으로 돌아갈 생각이었지만 결국 성사되지 못했다.
박 전 대통령은 “정치는 내가 맡을 테니 경제장관들은 경제 살리기에 전념해달라”며 전폭적인 신뢰를 보냈다. 고인은 1974년 재무부 장관에서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으로 영전했다. 1979년 대통령 경제담당 특별보좌관을 맡았다. 이 기간 동안 사채동결, 증권시장 개혁, 중화학공업 육성 등 굵직굵직한 경제 정책을 진두지휘했다. 최장수 재무장관(4년11개월), 최장수 부총리(4년3개월)라는 기록도 세웠다. 이후 1980년부터 82년까지 국무총리를 맡은 뒤 공직을 떠났다.
#은퇴후에도 시장경제 수호 활동
한국 경제 현대사의 산증인인 그는 건국 이후 경제관료 중 최고로 꼽힌다. 이론과 실무를 겸비했고, 기획력과 추진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고인은 특히 반대 의견에도 귀를 기울였다. 그가 2009년 발간한 서예집 ‘지암 남덕우 서집’ 첫 장에 나오는 논어 구절 ‘화이부동(和而不同)’은 삶의 지침이었다. ‘소인은 서로 같다면서 화하지 못하고 군자는 서로 다르지만 화한다’는 이 구절은 서로 입장이 다르더라도 대의를 위해서는 화해할 수 있다는 정신을 강조한 것이다. 고인은 “공직에 있는 동안 나와 생각이 같지 않은 사람들과 호의적으로 대화하고 설득하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 말하곤 했다.
고인은 학자와 관료 시절 ‘대한민국의 성장’을 위해 노력했고, 은퇴 이후 ‘수출 확대와 대한민국의 선진화’에 힘썼다. 1983년부터 1991년까지 제18~20대 한국무역협회장으로 재직하면서 한국 무역의 중흥기를 이끌었다. 서울 삼성동 종합무역센터 건립을 주도, 코엑스 전시장을 만들고 한국무역정보통신을 세웠다. 고인은 당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외국 바이어가 테헤란로에 방문하면 무역센터 빌딩에서 한국 업체를 만나고, 전시장에서 상품을 고르고, 현대백화점에서 선물을 사고,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잠을 자고, 공항터미널에서 출국 수속을 밟는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고인은 2005년 구평회 E1 명예회장, 진념 전 경제부총리 등과 함께 재단법인 한국선진화포럼을 설립해 경제 원로들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이 재단은 한국 사회의 선진화를 목표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연구하는 민간 싱크탱크다. 작년 9월 대선을 앞두고 전직 경제부총리 12명과 함께 경제민주화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해 출자총액제한제도 부활, 신규 순환출자 금지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최근까지 TCC동양 산하 우석문화재단 이사, 서강포럼 고문, 전국경제인연합회 윤리위원회 위원, 한국무역협회와 산학협동재단 고문으로도 활동했다.
박근혜 대통령과의 인연도 각별하다. 고인은 2002년 박 대통령의 한나라당 시절부터 후원회장을 맡았다. 2007년 한나라당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서는 경제정책자문단의 좌장을 했다. 지난 대선에서도 박 대통령에게 경제 자문을 했다.
서욱진 한국경제신문 기자 venture@hankyung.com
-----------------------------------------------------------------------
서강학파 주도…외환위기 전까지 수출성장 정책 주도
고(故) 남덕우 전 총리는 1970년대 고도성장 정책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 서강학파의 좌장이다.
서강학파는 한국 경제학계에서 최초로 학파로 인정받았다. 1960년대 미국에서 신고전주의 경제학을 배운 뒤 귀국해 서강대 교수로 활동한 사람들이 주축이다. 성장을 최우선시해 서구식 경제 근대화 모델을 토대로 대기업과 중화학공업 중심의 경제 정책을 펼쳤다.
고인이 1969년 재무부 장관에 임명된 것은 서강학파의 경제 이론이 정책으로 실현되는 계기가 됐다. 고인은 수출 지상주의, ‘선 성장 후 분배’ 등을 통한 압축 성장을 추진했다. 고인과 함께 ‘서강학파 트로이카’로 불리는 이승윤, 김만제 전 부총리도 고인과 마찬가지로 철저한 성장론자였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71년 이 전 부총리를 금융통화 운영위원, 김 전 부총리를 한국개발연구원(KDI) 초대원장으로 기용했다. 서강대 교수 출신들을 차례로 중용한 것이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도 서강학파를 많이 썼다. 전 전 대통령은 서강학파인 신병현 전 부총리, 김재익 전 경제수석을 기용했다. 노 전 대통령은 이승윤 전 부총리, 김종인 전 경제수석 등을 중용했다. 1997년 외환위기가 터지자 성장 중심의 경제 정책에 따른 부작용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서강학파는 입지가 좁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박근혜정부 들어서면서 다시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김인기 중앙대 명예교수, 홍기택 산은지주 회장 등 서강학파들이 주목을 받게 된다. 박근혜 대통령 캠프에 합류했던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을 포함해 김병주 서강대 명예교수, 김덕중 전 교육부 장관 등도 서강학파로 분류된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2013.5.25.
'○ 경제상식. 일반상식 퀴즈 -한국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ocus] "대기업이 벤처 사야 창업생태계가 산다" ☆ (0) | 2013.07.26 |
---|---|
☆ [Focus] 국회 나설 일 아닌데도 관여…멍드는 시장경제 ☆ (0) | 2013.07.26 |
☆ [Focus] 패션은 메시지다…"옷은 총보다 강력한 무기" ☆ (0) | 2013.07.25 |
☆ 경제상식.일반상식 퀴즈 ☆ (0) | 2013.07.15 |
☆ 경제상식.일반상식 퀴즈 ☆ (0) | 201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