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롯데케미칼

산업 분야 종합석유화학업
창립 1976년 3월
시장 정보 한국: 011170
상장일 1991년 5월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본사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2동 롯데타워빌딩
핵심 인물 대표이사 신동빈, 정범식, 허수영 사장
웹사이트 http://www.lottechem.com/

롯데케미칼대한민국의 종합석유화학 회사이다. 코스피200 종목에 포함되어 있다. 롯데그룹 계열사이다. 케이피케미칼을 흡수합병하고 2012년 12월 호남석유화학에서 롯데케미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편집] 연혁

1976년 3월 회사를 설립했으며, 미쓰이석유화학과 미쓰이도아쓰화학, 영국셀개발 등에서 기술을 도입했다. 1979년 3월 PP, PE, EOG, UC공장을 준공한 이후, 국내 지분을 롯데그룹 계열사가 인수하여 롯데그룹 계열사에 편입되었다. 1979년 12월, HDPE와 PP, EOG의 상업생산 개시했으며, 1984년 복합수지공장을 준공했고 1986년에는 연구소를 설립했다. 1988년 4월과 11월, SPE공장과 SPP공장을 각각 준공했다. 1991년 연구소를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하고, 기업 공개를 통해 주식시장에 상장했으며, SEG공장을 준공했다. 1992년 NC공장, BTX 공장의 상업운전 개시한 이후,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EG, PET, 3PE, EOA공장을 각각 준공했으며, 2001년은 MMA와 Naphtha 분해공장 및 BTX 공장 Revamping을 완공하고 3PP공장을 준공했다. 2003년 열병합발전설비와 3AS 공장을 준공한 데 이어, 2004년까지 구 현대석유화학 2단지와 케이피케미칼을 각각 인수했다.[2]

 

---------------------------------------------------------------------------

 

롯데그룹

[ Lotte Group ]

롯데그룹은 1967년 세워진 롯데제과로부터 시작됐다.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를 계기로 2년 뒤 재일교포였던 신격호 회장이 한국에 롯데제과를 세웠다. 1973년 롯데호텔과 롯데기계공업, 롯데파이오니아를 시작으로 1974년 롯데상사, 1978년 롯데햄과 롯데우유, 1979년 롯데리아롯데쇼핑이 잇따라 세워졌다. 1974년에는 칠성한미음료를 인수해 롯데칠성음료로, 1978년에는 평화건설을 인수해 롯데건설로 각각 이름을 바꿨다. 롯데그룹은 1980년 롯데냉동을 세웠고 같은 해 한국후지필름을 인수했다. 1982년에는 프로야구단인 롯데자이언츠와 롯데물산을, 이듬해에는 롯데유통사업본부와 롯데호텔부산을 만들었다. 1988년 11월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롯데백화점 잠실점이 개점했고 이듬해 7월 같은 장소에 롯데월드가 문을 열었다. 1995년 롯데캐피탈, 2000년 롯데닷컴, 2002년 롯데카드가 각각 세워졌다. 2006년 롯데그룹은 우리홈쇼핑을 인수해 롯데홈쇼핑으로 이름을 바꾸고 홈쇼핑 분야에 진출했다. 롯데그룹의 계열사는 식품, 유통•관광, 중화학•건설•기계, 금융•정보통신•서비스, 복지•연구•지원 등 5개 부문으로 나눠진다. 식품부문 계열사는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롯데햄, 롯데삼강, 롯데리아, 롯데후레쉬델리카, 롯데브랑제리, 롯데제약, 롯데쇼핑(주)식품사업본부, TGI프라이데이스, 크리스피크림, 웰가, 롯데주류BG 등이다. 유통•관광 부문 계열사는 롯데호텔, 롯데면세점, 부산롯데호텔,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슈퍼, 롯데시네마, 롯데미도파, 롯데닷컴, 롯데월드, 롯데물산, 롯데로지스틱스, 코리아세븐, 롯데역사, 롯데스카이힐CC, 롯데상사, 에프알엘코리아, 롯데아사히주류, 롯데아이몰, 샤롯데시어터, 롯데홈쇼핑, 롯데JTB 등이다. 중화학•건설•기계 부문 계열사는 호남석유화학, 케이피케미칼, 롯데건설, 롯데기공, 롯데알미늄, 롯데전자, 케이피켐텍 등이다. 금융•정보통신•서비스 부문 계열사는 롯데카드, 롯데캐피탈, 롯데손해보험, 한국후지필름,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롯데정보통신, 대홍기획, 롯데자산개발 등이다. 복지•연구•지원 부문 계열사는 롯데중앙연구소, 롯데연수원, 롯데유통사업본부, 롯데장학재단, 롯데복지재단, 마이비 등이다.

 
관련 사이트
http://www.lotte.co.kr

 

 

 

새롭게 출범한 롯데케미칼

 

[출처] 조은뉴스(http://www.egn.kr)

 

 

신동빈 "롯데캐미칼 아시아 최고의 화학기업으로 도약"



호남석화-케이피케미칼 합병, 롯데캐미칼 공식 출범

【서울=뉴시스】양길모 기자 = "롯데캐미칼의 사명 변경을 통해 아시아 최고의 화학기업으로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2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개최된 '호남석유화학·케이피케미칼 합병 및 CI

선포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신 회장은 "이번 사명변경을 통해 롯데케미칼이 2018년 아시아 TOP10 글로벌 그룹을 달성하는데 기여하는 한편

아시아 최고의 화학기업으로서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전 임직원이 노력해 줄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어 대해 허수영 롯데케미칼 대표이사는 "어떠한 위기에서도 창조적인 발상과 뜨거운 열정으로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삼을 것이며 포화된 국내시장을 넘어 사업영역을 해외로 적극 확장하고

메가트렌드 사업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앞서 호남석유화학은 지난 13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롯데케미칼'로 사명 변경을 확정했다.

롯데케미칼의 전신인 호남석유화학은 1976년 설립됐으며 1979년 여수석유화학이 가지고 있던 지분을

롯데그룹이 인수해 계열사로 편입됐다. 이후 호남석유화학은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지난해 17조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롯데그룹을 이끄는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케이피케이칼'은 2004년 롯데그룹 계열사로 편입된 이후 안정적으로 성장해 왔다. 양사는

지난 8월 합병 결의 이후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개최해 합병절차를 완료했으며

이번 합병 및 CI 선포식을 통해 '롯데케미칼'이라는 새 이름으로 공식 출범했다.

dios102@newsis.com


 

 

롯데케미칼 출범…"호남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허수영 롯데케미칼 대표(오른쪽)가 2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롯데케미칼 합병 및 CI 선포식’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으로부터 전달받은

새 사기를 흔들어 보이고 있다. /롯데케미칼 제공

 

 


호남석유화학과 케이피케미칼은 그룹의 성장에 큰 역할을 해왔음에도 ‘롯데’라는 그룹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아 아쉬움이 많았다. 이제 드디어 둘을 합쳐 롯데케미칼로 이름을 바꾸게 됐다.

새로운 출발을 축하한다. 아시아 최고 화학 기업으로 모범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2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롯데케미칼 합병 및 CI(coporate identity)

선포식’에서 ‘오늘같이 기쁜 날’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호남석유화학이 케이피케미칼과 합병하며 ‘호남’이라는

사명을 뗀 것은 1976년 회사 설립 이후 36년 만이다. 1979년 롯데그룹 계열사로 편입된 지 33년 만에

‘롯데’라는 브랜드를 갖게 됐다.

신 회장으로부터 새로운 사기(社旗)를 전달받은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은 “석유화학 부문 매출이

롯데그룹 총 매출의 20%를 넘어서면서 대표 계열사가 된 것이 사명 변경의 이유”라며

“케이피케미칼을 흡수 합병해 여수뿐 아니라 대산, 울산에도 공장을 두게 돼

회사 이름에서 지역명 ‘호남’을 뺄 필요도 있었다”고 말했다.

1980년 1000억원이던 호남석유화학의 매출은 지난해 17조원으로 성장했다.

롯데는 적극적인 인수·합병(M&A)으로 규모를 키웠다.

2003년 옛 현대석유화학 2단지에 이어 2004년 케이피케미칼(옛 고합)을 인수했다.

2009년엔 롯데대산유화를 흡수 합병했고 2010년엔 말레이시아의 화학기업 타이탄을 인수했다.

호남석유화학과 케이피케미칼은 8월 합병을 결의한 뒤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통해

합병 절차를 마쳤다. 지난 13일엔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롯데케미칼로 사명 변경을 확정했다.

신 회장은 “앞으로 그룹 차원에서 롯데케미칼이 이끄는 중화학 분야를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그룹 비전인 ‘2018년 아시아 톱10 글로벌 그룹’ 목표를 달성하고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 회장은 1990년 호남석유화학 상무로 입사하며 롯데그룹과 인연을 맺어 석유화학 부문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다.

롯데케미칼은 5년 뒤인 2018년까지 매출을 40조원대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허 사장은 “과거의 성공이 미래의 실패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하고 어려운 시기를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만들 것”이라며 “합병을 계기로 포화 상태의 내수시장을 넘어 해외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기존 범용제품을 ‘메가트렌드’ 사업으로 강화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한국경제

 

 

 

☆ [2013 다시 뛴다]복합단지 건설로 롯데 브랜드 강화


 

 

롯데그룹은 ‘글로벌 경영’을 지속성장의 키워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전 사업부문에 걸쳐 해외 진출을 강화하는 한편 복합단지 건설로 롯데 브랜드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좋지 않은 경영환경 속에서도 73조 원 매출을 달성하며 매출 70조 원 시대를 연 롯데는 현재 VRICI 5개국(베트남, 러시아,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을 중심으로 해외 20여 개국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는 그룹 전체 매출 200조 원 중 30% 이상을 해외에서 올린다는 목표를 정했다.

그룹의 핵심 사업인 유통부문은 사업 다변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2007년 러시아 모스크바점 오픈을 통해 해외시장에 처음 진출한 롯데백화점은 2008년 중국 베이징점, 지난해 6월 톈진점, 올 7월 톈진2호점인 문화중심점을 잇따라 열었다. 2013년에는 중국 웨이하이점과 청두점,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점을 열 예정이다.



롯데마트는 올 9월을 기점으로, 중국 진출 5년 만에 점포 수 100개를 돌파하는 등 성공적인 해외사업을 펼치고 있다. 연말에는 베트남 3, 4호점을 연달아 오픈하면서 국내(102개 점)보다 해외(134개 점)에서 더 많은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식품부문에서는 특히 인수합병(M&A)을 통한 해외 진출에 힘을 쏟고 있다. 2007년 베트남 업체 비비카를 인수한 데 이어 2008년에는 벨기에의 길리안 인수에 성공하면서 프리미엄 초콜릿 시장에 진출했다. 관광부문에서도 지속적인 해외 진출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2010년 롯데호텔 모스크바를 열면서 글로벌 호텔체인으로서 첫발을 뗀 롯데호텔은 2014년 베트남 하노이, 2017년 중국 선양 등지에 체인호텔을 차례로 열면서 2018년까지 ‘아시아 톱3’ 호텔로 성장하겠다는 계획이다.

롯데그룹의 또 다른 성장 축인 석유화학부문도 그룹 비전에 맞춰 2018년 매출 40조 원을 올리면서 아시아 최고의 화학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2010년 말레이시아의 타이탄을 인수하면서 글로벌 석유화학 기업으로 도약한 호남석유화학은 지난해 미국 앨라배마에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올해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롯데는 그동안 축적해온 식품 유통 건설 서비스 역량을 한데 모은 초대형 프로젝트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울 잠실에는 내년부터 2015년까지 순차적으로 오픈하는 123층 규모의 롯데월드타워를 건설하고 있다. 또 중국 선양에서는 2017년 완공을 목표로 테마파크, 쇼핑몰, 호텔, 오피스, 주거단지 등이 어우러진 복합단지를 계획하고 있다.

김현진 기자 bright@donga.com

Donga.com 

 

호남석유 여수공장 연말 어려운 이웃 찾아 ‘훈훈’
                                  21일 한려동 소외계층 50세대에 ‘사랑의 쌀’ 전달

   
▲ 호남석유화학 여수공장 봉사단이 연말연시를 맞아 지역내 소외계층을 돕는 봉사활동에 나서 눈길을 끈다.
호남석유화학(주) 여수공장(총괄공장장 안주석)이 지역 소외계층 50세대를 찾아 ‘행복나눔 사랑의 쌀’을 배달하면 훈훈함을 더해 줬다.

호남석유화학에 따르면 지난 21일 사내 어울림 자원봉사팀원들이 한려동을 찾아 소외계층 50세대를에 ‘행복나눔 사랑의 쌀’을 배달했다.

봉사대는 독거노인 20세대와 조손가정 10세대, 장애인 20세대에 백미(20kg) 50포대 쌀을 전달했다.

어울림 자원봉사팀은 지난해에는 연탄배달 5세대를 선정해 1500장을 배달하기도 했다.

행사에 참여 한 자원봉사팀원은 “어려운 이웃들에게 온 정이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나눔을 동료들과 함께 실천해 개인적으로 잠시나나 훈훈했었다”며 “앞으로 평상시 주위의 어려운 이웃들을 생각하고 찾을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만들어가겠다”고 이야기했다.

한편 호남석유화학(주) 여수공장에서는 2009년부터 자원봉사 13개팀이 꾸려져, 사회복지.교육장.환경문화 분야로 나눠 총 228회 지역 곳곳을 찾아다니며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정송호 기자 yeosuman@nhanews.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