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매창(梅窓),春思 -봄 시름
東風三月時 處處落花飛
동풍삼월시 처처락화비
綠綺相思曲 江南人未歸
녹기상사곡 강남인미귀
봄바람 살랑이는
때는 춘삼월
이르는 곳마다
흩나는 꽃잎
거문고 상사곡
애끓는 가락
강남 간 그 님은
왜 이리 늦냐
사랑하는 이를 그리는
봄의 애상이다.
봄은 강남으로부터 온다.
꽃소식도 제비도 강남에서 북상해 온다.
그렇건만,
이 봄과 함께 오시겠다던,
강남 간 그이는
감감 무소식..
봄도 이미 막판이라
가는 곳마다 지는 꽃잎
눈보라처럼 흩날려
기다리는 심사를 애타게 하고 있다.
거문고 뉘여
상사곡 한 곡조 뜯어 보지만
마음은 마냥
꽃보라처럼 수란(愁亂)만 하다.
매창은 촌은(村隱) 유희경(柳希慶)과
정이 깊었으나,
그가 서울로 돌아가자
소식이 끊겨졌으므로,
오매에 잊지 못하는 정을
시조로 읊었다.
-
이화우(梨花雨) 흩날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추풍 낙엽에
저도 나를 생각는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
-
그녀는 상대의 매정함에 아랑곳없이
일생을 수절하였다 하니,
이 시의 `기다리는 님` 또한
동일인(同一人)일 것임은 의심할 나위가 없을 것 같다.
다음에 `자상(自傷)` 4수 중
그 셋째 수를 옮겨 덧붙인다.
-
자상(自傷)- 속상해
一片彩雲夢 覺來萬念差
일편채운몽 각래만념차
陽臺何處是 日暮暗愁多
양대하처시 일모암수다
꽃구름 얼리던 꿈
깨고 나니 허망하다
이 님 만날 곳
어디뇨?
황혼에 아득
수수로와라 ..
그런데 유희경이 남긴 글을 보면
그도 매창을 늘 그리워하며 지낸 것을 알 수 있다.
- 매창을 그리워하며
娘家在浪州 我家住京口
낭가재낭주 아가주경구
相思不相見 腸斷梧桐雨
상사불상견 장단오동우
그대의 집은
부안에 있고
나의 집은
서울에 있어
그리움 사무쳐도
서로 못 보니
오동잎에 비 뿌릴 제
애가 탄다오
*
綠綺(녹기):거문고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양왕(梁王)에게서 받았다는 거문고의 이름.
타카페에 올라온 글이나
검색에 들어가 보면,
綠綺(녹기)를 綠綺(녹의) `초록치마`로 올린 글이 많다.
바로 잡아야 한다.
강남(江南):
중국 양자강 남쪽 지방의
따뜻한 곳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차츰
상상의 나라로 관념화하여,
봄의 고장,
평화와 행복의 나라,
꿈과 동경의 세계로
전의(轉意)되었다.
*
梅窓(1513~1550):
여류시인. 姓은 李氏 본명 香今,
자 天香, 桂生,
扶安의 名妓.
"매창집"에
시 58수가 전한다.
728x90
반응형
'★ 고전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醉鄕(취향)-김시습(金時習) ☆ (0) | 2013.05.10 |
---|---|
☆ 李白(이백)의 思邊 (사변 : 변경을 생각하다) ☆ (0) | 2013.04.06 |
☆ 고유소사행/李白 ☆ (0) | 2013.04.01 |
☆ 白紵行(백저행)/채 제공 ☆ (0) | 2013.03.12 |
☆ 江碧鳥逾白 /杜甫 ☆ (0) | 201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