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제·금융 상식 퀴즈 O X] 10월 24일 (771)

1. 중앙은행이 시장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준금리를 비롯한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외부에 미리 알려주는 것을 뜻하는 말은?

①포워드 가이던스 ②합리적 기대이론
③양적긴축 ④블랙메일

2. 국방, 치안, 도로, 공원 등과 같이 가격을 지불하지 않아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를 가리키는 말은?

①정상재 ②사치재
③공공재 ④열등재

3.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며 주식처럼 거래 가능한 ‘상장지수펀드’를 뜻하는 용어는?

①CB ②CP ③ETF ④DLF

4. 임원이 퇴임할 때 거액의 퇴직금을 주도록 하는 제도로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대한 경영권 방어장치인 이것은?

①그린메일 ②스톡옵션
③황금낙하산 ④유상증자

5. 한 주 가격이 1000원이 안 되는 저렴한 주식에 붙는 별명이다. 주로 소형주가 많고 주가 변동성이 큰 경향을 보이는 이것은?

①우선주 ②자사주 ③황제주 ④동전주

6. 지니계수가 상승했다면 어떤 의미인가?

①소득분배 악화 ②교역조건 악화
③소비자 구매력 상승
④증시 변동성 확대

7. 저작권, 미술품, 상업용 빌딩 등 개인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자산에 여러 사람이 소액 투자하고 이익을 함께 나눠 갖는 신종 상품은?

①분산투자 ②조각투자
③대체투자 ④퀀트투자

8. 맛있는 빵을 먹을 때 처음엔 맛있지만 계속 더 먹으면 물리는 건 ‘이것’ 체감의 법칙과 연관이 있다. 이것에 들어갈 말은?

①한계효용 ②총효용
③고정비용 ④기회비용

--------------------------------------------

[커버스토리]
한국인 4743만 명 거주 '카카오 생태계' 안전한가?

 

인구 5174만 명이 사는 이곳은 대한민국입니다. 그런데 이 인구의 91.7%인 4743만 명이 모여 사는(?) 곳이 있습니다. 어디일까요? 이곳은 카카오공화국입니다. 카카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워낙 많으니 하나의 공화국에 비유해 이름을 붙여본 겁니다. 이름만 들으면 아프리카 어딘가에 실제로 존재하는 나라 같습니다.

지난 15일 카카오 생태계에 난리가 났습니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SK C&C 데이터센터 A동 지하 3층에서 불이 났기 때문인데요. 생태계를 연결하는 데이터 서버가 꺼져버린 겁니다. “연락이 안 된다” “주문을 할 수 없다” “계좌 이체를 못 한다” “택시를 잡을 수 없다” “웹툰을 볼 수 없다”는 문의와 항의가 빗발쳤습니다. 이번 사건은 정보통신망이 작동을 멈출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SK C&C 데이터센터 같은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파장이 어마어마합니다. 따라서 화재 원인에 대한 조사가 철저히 이뤄져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카카오가 이런 사고에 대비해 이중(백업) 시스템을 제대로 갖췄는지도 면밀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초연결성과 거대 네트워크를 자랑하는 ‘카카오 생태계’는 그에 걸맞은 책임 의식을 가져야 하니까요. 카카오 이슈를 심층 분석해봅시다.무료문자로 시작한 작은 스타트업 '카톡'
5000만명 연결하는 거대 기업으로 성장
카카오 생태계는 하나의 공화국이라고 할 만합니다. 한 나라가 다양한 지역 영토로 구성돼 있듯이, 카카오공화국도 많은 서비스 영토로 짜여 있답니다. 공화국의 시작은 미미했습니다. 무료 문자 서비스 하나를 들고 광야를 헤맨 스타트업이었습니다. 창업자는 김범수 씨입니다. 2010년 3월 18일 카톡이 메신저 시장에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이게 뭐지? 공짜 메신저?”라고 했죠.

‘공짜 문자’는 시장을 뒤집어 놓았습니다. 유료가 무료가 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가입자가 급증했습니다. 데뷔 첫해 3000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대박’ 그 자체였죠. 유료 문자 서비스로 재미를 보고 있던 이동통신 3사는 대책을 마련해야 했습니다. “이러다 큰일 나겠다” 싶었던 거죠. 이통 3사는 2012년 말 연합군을 꾸렸고 공동 채팅 시스템 ‘조인(Joyn)’을 선보였습니다. 그러나 조인은 카톡의 선점 효과를 꺾지 못하고 스르르 사라졌습니다. 카톡의 시장 점유율은 80%를 넘어 90%로 직행했습니다.

네이버도 카카오톡의 성공을 보고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포털 서비스 1위’라는 타이틀을 업고 채팅 앱 라인(LINE)을 국내 시장에 내놨습니다. 라인은 원래 카톡이 나오기 전 네이버재팬이 만든 것인데, 국내에선 카톡의 벽을 넘지 못했습니다. 일본과 동남아시아를 포함해 글로벌 이용자 수에선 라인이 카톡을 앞서지만 말이죠. 3G를 넘어 4G로 통신기술이 진화하면서 카톡은 문자를 넘어 사진, 동영상을 전송하는 서비스까지 시작했습니다. 기술 발전에 맞춰 ‘그룹 채팅(단톡)’ 서비스도 내놨죠.

문제는 카톡이 돈을 벌지 못한다는 데 있었습니다. 가입자는 많은데 돈이 될 구석은 없었던 거죠. 한마디로 ‘빛 좋은 개살구’라는 악평이 많았습니다. 카카오는 캐릭터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2012년 11월 이모티콘 기반 캐릭터인 ‘카카오 프렌즈’가 출시됐습니다. 처음엔 무료 이모티콘이었는데, 지금은 각종 캐릭터 상품으로 확장하며 제법 큰 이익을 내는 효자 종목이 됐죠. ‘애니팡’ 게임도 단기간에 돈을 벌어보겠다고 내놓은 연동 서비스였습니다. 모바일 게임업체는 카톡의 방대한 이용자가 필요했고, 카톡은 게임 서비스를 통해 벌어들이는 수익의 일부를 넘겨받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서비스만으로는 천문학적으로 들어가는 투자비를 댈 수 없었습니다. 2014년 카톡은 LG CNS와 손을 잡고 ‘카카오페이’라는 간편결제 서비스를 내놨습니다. 이것은 각종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하는, 복잡한 결제 과정을 없앴습니다.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되도록 했죠. 핀테크 시대에 걸맞은 ‘간편결제’ 시대를 연 겁니다. 카카오페이로 금융 노하우를 축적한 카카오는 2017년 4월 은행업 영업인가를 받았어요. 카카오뱅크가 그것입니다. 이 서비스는 금융 소비자로부터 더 큰 호응을 얻었고, 결국 기존 은행업을 흔들어 놓았습니다. 은행업계에 “이러다 카뱅에 시장을 다 빼앗기겠다”는 위기감이 엄습한 거죠.

세상에 ‘톡’ 하고 알을 깨고 나온 지 12년이 된 지금, 카카오 생태계는 광활합니다. 카톡(메신저), 카카오페이(결제), 카카오뱅크(은행), 카카오T(이동수단), 카카오버스(교통정보), 카카오페이지(콘텐츠), 다음 뉴스룸·카페(뉴스와 커뮤니티), 멜론(음악)이 대한민국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헌법상 대한민국이라는 영토에서 살지만, 인터넷상으로는 카카오공화국 시민일지 모릅니다.

요즘 비즈니스를 하려면 카카오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는 안 된다고 할 정도입니다. 카카오는 인수합병 등을 통해 계열사를 늘렸습니다. 한때 138개에 달했고 지금은 128개라고 합니다. 상장된 카카오그룹의 시가총액은 한때 120조원을 넘었습니다. “시작은 미미하나 미래는 창대하리라”라는 말은 카카오를 두고 하는 말인 듯합니다. 카카오가 가져온 혁신은 많은 영역에서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시장에 영원한 승자는 없습니다. 이번처럼 ‘먹통 카카오’라는 위기가 닥칠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