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새벽부흥회

♣제23차 봄 글로벌 특별새벽부흥회(주후 2025년 4월 22일)“21세기의 능력”- 케빈 브라운 총장(에즈버리 대학교),“믿음과 건강” -김의신 박사님(MD 엔더슨 암센터 종신교수님-서울대 석.박사 논문지도교수님-초빙)

by ☆ 향기야(hyacool) ☆ 2025. 4. 22.
728x90
반응형


제23차 봄 글로벌 특별새벽부흥회
(주후 2025년 4월 22일)-둘째날

♣제23차 봄 글로벌 특별새벽부흥회(주후 2025년 4월 22일)
제목: “21세기의 능력”-( 누가복음 9:1-2), “믿음과 건강” -(요한삼서 1:2)
말씀: 누가복음 9:1-2, 요한삼서 1:2


설교자: 케빈 브라운 총장(에즈버리 대학교),
김의신 박사님(MD 엔더슨 암센터 종신교수님, 서울대 석.박사 논문지도교수님)
-----

*누가복음 9:1-2,
1 예수께서 열두 제자를 불러 모으사 모든 귀신을 제어하며 병을 고치는 능력과 권위를 주시고.
2 하나님의 나라를 전파하며 앓는 자를 고치게 하려고 내보내시며.

*요한삼서 1:2,
2 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이 잘됨 같이 네가 범사에 잘되고 강건하기를 내가 간구하노라
-----


▶케빈 브라운 총장(에즈버리 대학교)-1부
*누가복음 9:1-2,
1 예수께서 열두 제자를 불러 모으사 모든 귀신을 제어하며 병을 고치는 능력과 권위를 주시고.
2 하나님의 나라를 전파하며 앓는 자를 고치게 하려고 내보내시며.


-Greetings it is a joy a blessing and an honor to share with you i specifically want to give greetings to the sarang church and the more than 1 000 churches participating in the 23rd spring global conference grace and peace to you all.

I want to open by reading a passage from luke chapter 9 verses 1 and 2. Then Jesus called the twelve together and gave them power and authority over all the demons and to cure diseases. And he sent them out to proclaim the kingdom of God and to heal. Here, Jesus is deputizing the disciples to go and minister as representatives of God's kingdom. And we see that Jesus gives the disciples power and authority over demons and diseases. Note the distinction. Clark's commentary writes, ...the treatment of these two was not the same.

The demons were to be cast out, the diseases to be healed. In other words, one was spiritual demons, one was physiological diseases. One relates to spiritual health, the other relates to physical health. And this distinction is important in our 21st century technology-driven age, and it is important for our mission to the world. The late Rabbi Jonathan Sacks observed that modern innovations now meet human needs previously met by religion. Specifically, he said, Look at where we are right now in the evolution of human civilization. To explain the world today, we don't need revelation. We have science. To control it, we don't need oracles and magic. We have technology. To control power, we don't need the prophets.

We have elections. And if we're ill, we don't go to a priest, we go to a doctor. And if we're in search of salvation, we can go to the modern cathedrals of the consumer age, namely shopping malls. So in functional terms, everything religion used to do is now done by something else. It's a thought-provoking quote, and to be clear, I'm a recipient and a user of these advances. When I have a headache, I take aspirin. If I'm lost or need direction, I use Google Maps. To help my restless leg syndrome, I go to a sleep doctor. Amazon algorithms tell me what books I might like. Zoom allowed me to maintain job continuity as well as stay in touch with loved ones during the pandemic.

And maybe one day a breakthrough will occur that can put hair back on my head. So I'm not here to criticize these technological advances. But don't miss this Nothing in our advanced modern society is equipped to address our spiritual need. No medicine, no algorithm, no machinery, no GPS, no scientific breakthrough— nothing is sufficient to fill what Pascal has referred to as a God-shaped hole in our lives.

You see, these modern forms of power that we frequently consume, they can do a lot for me and in me, but forgiving my enemies, saying no to destructive inclinations, exhibiting humility, living upright and godly lives in this present age, as Paul talks about in Titus 2, Demonstrating joy and endurance in the face of pain and hardship, compelling me to serve, softening my heart when it wants to harden, purifying my thought life, being able to see others and their complexity through the eyes of Jesus, willing the good of another. This is a different power coming from something else, somewhere else, someone else.

And may I assert that this is perhaps the most profound, visible, compelling manner by which to exhibit God's power in our lives today. This is how we make our argument for the faith. This is how we evangelize to the world. How? A few reasons. First, it creates a different kind of plausibility structure for the Christian life. Plausibility structure is an expression used by the sociologist Peter Berger to simply convey a way of living the background story that forms and shapes our beliefs. This is important because there is a need to have a plausibility structure for the virtue, holiness, and life of faith that we proclaim as Christians. People need to see our faith demonstrated, not just hear our words and opinions.

Others need to see the fruit of Christian wisdom. They need to see the victory of God's power in our lives. To see the joy, peace, and hope that accompanies our faith. Today, in the 21st century, seeing really is believing. The world needs to see Christians act like Christians. I once heard a commercial advertising a pill that would help you to sleep at night. Don't worry, the voice on the commercial said, the medicine is non-habit for me. And if I could make the connection, a casual faith is a faith that says, don't worry, this is non-habit for me. Have we displayed a Christian faith that is low cost and thus low value? Because whatever we might say about Jesus Christ, he was not casual.

He was not lukewarm. He was serious. He was ready to count the cost. Second, the power of a changed life is the life that we were made for. Religion, and specifically Christianity, is often characterized in a rather unattractive manner. But Scripture tells a different story. In 1 Timothy, Paul talks about taking hold of the life that really is life. In Colossians 2, he describes fullness in Christ. Christ invites the weary into rhythms of rest in Matthew 11, and a full, abundant life in John 10. One of the best summary descriptions of Matthew 6 and the Sermon on the Mount can be found in the words of John Wesley He says, It is as if Jesus is saying, 'Behold, I show you the thing which your soul longeth for.

See the way you have so long sought in vain, the way of pleasantness, the path to calm, joyous peace, to heaven below and heaven above. These are the things your soul desires. These are where your deepest longings are met. This is good news. And in the Christian tradition, we believe that God is the object, the destination of our deepest yearnings. Recall Augustine's famous statement at the beginning of his book, Confessions. Lord, you have made us for yourself and restless are our hearts until they find their rest in thee. So our empowerment through the Holy Spirit is a manner to bear witness unto others, to embody Christian doctrine and make it plausible to live a full life. But third and finally, we effectively bear witness by reflecting the character of God and his son, Jesus. And what is that character?

Well, it's strange. It's odd. It's different. Think about Jesus's power. He could do anything you wanted. Change water into wine. Heal the sick. Raise the dead. Calm the storms. He could reattach severed ears. He could summon currency for Roman taxation from a fish's mouth. When angry synagogue attendants wanted to throw him off a cliff, he could pass through their midst. But those seduced and attracted to Jesus' power would ultimately be disappointed. One New Testament scholar says, The greatest miracle of Jesus was the miracle he did not perform. He stayed on the cross when he could have come down. To suppress power out of love for another is its own kind of power.

So much about God's power in our lives will run counter to cultural convention. Put differently, we should look a little weird. Remember Philippians 2, verses 5 through 8. But you have the mind of Christ, who, though he was in the form of God, did not regard equality with God as something to be exploited. Rather, he emptied himself, taking on the form of a slave, being made in human likeness. And being found in human form, he humbled himself and became obedient to the point of death, even death on a cross. If we exhibit this kind of power, the world will take notice. If the antibodies of humility course through the bloodstream of the church, the world will not be the same. I love the story of the woman who had been suffering who touched Jesus' cloak in a crowd.

Recall that scripture says Jesus felt power leave him. The Greek word for power is dunamis, and it is connected to our word dynamite. So, what's our dynamite? What's our 21st century power? First, a holy, upright, and godly life. Let a holy life, how you live, be your argument. Second, exhibiting a life of wholeness, joy, satisfaction, gratification, and hope. Fullness. Third, humility, giving ourselves and our life to the benefit of others, being constituted by otherness, having a heart curved, bowed outward, being odd, weird, peculiar in a good way.

I can assure you no modern technology will do this, but God's power will. This is real 21st century power, what God can do that nothing else can do. The British evangelist Gypsy Smith said, There are five gospels matthew, mark, luke, john, and the Christian. and most people, he said, will never read the first four.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t work in our lives, holy lives, full and flourishing lives, humble lives, this is our witness. Let's aspire to be the fifth gospel to a disillusioned world because in this moment, seeing truly is believing. Let's aspire to be dynamite.

Not because we are powerful, we're not, but because God's power is within us and because his spirit dwells within our midst. And God wants to give us this power, His power. And church, when we pray, He answers. He is not a God tucked away in the universe. He is an ever-present relational God. Our church's mission is unto the world. And I want to assert that this 21st century power, the fifth gospel, a spirit-filled holy life, is how we bear witness unto this world. Thank you. God bless you.

▶해석
안녕하세요!.
여러분과 함께 나눌 수 있어 기쁨과 축복, 그리고 영광입니다. 특히 사랑교회와 제23회 봄 세계 대회에 참여하는 1,000여 개 교회에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여러분 모두에게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기도합니다.

누가복음 9장 1절과 2절을 읽으며 시작하고자 합니다. 예수님께서 열두 제자를 불러 모으시고 모든 귀신을 제어하고 병을 고치는 능력과 권세를 주셨습니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전파하며 병을 고치도록 내어 보내셨습니다. 여기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대표자로서 사역하도록 위임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귀신과 질병을 제어하는 ​​능력과 권세를 주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차이점에 주목하십시오. 클라크의 주석은 이렇게 기록합니다. "...이 두 가지에 대한 치료는 동일하지 않았습니다."

귀신은 쫓겨나고 질병은 치유되어야 했습니다. 다시 말해,
하나는 영적인 귀신이고, 하나는 생리적인 질병이었습니다.
하나는 영적인 건강과 관련이 있고, 다른 하나는 육체적인 건강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구분은 21세기 기술 중심 시대에 중요하며, 세상을 향한 우리의 사명에도 중요합니다. 고(故) 조나단 색스 랍비는 현대의 혁신이 이전에는 종교가 충족시켜 주었던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구체적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인류 문명의 진화 과정에서 우리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오늘날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계시는 필요 없습니다. 우리에게는 과학이 있습니다. 세상을 통제하기 위해 신탁이나 마법은 필요 없습니다. 우리에게는 기술이 있습니다. 권력을 통제하기 위해 예언자는 필요 없습니다." -조나단 색스 랍비-

우리에겐 OO가 있습니다. 아플 때는 신부가 아니라 의사에게 갑니다. 구원을 찾고 있다면 소비 시대의 현대 성당, 즉 쇼핑몰에 갈 수 있습니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면, 종교가 예전에 하던 모든 일을 이제는 다른 무언가가 대신하고 있습니다. 생각을 자극하는 명언인데,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저는 이러한 발전의 수혜자이자 사용자입니다. 두통이 있으면 아스피린을 먹고, 길을 잃거나 방향을 잃을 때는 구글 지도를 사용합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수면 전문의를 찾습니다. 아마존 알고리즘이 제가 어떤 책을 좋아할지 알려줍니다. 줌 덕분에 팬데믹 기간 동안에도 직장 생활을 이어가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언젠가 제 머리카락을 되살려줄 획기적인 변화가 생길지도 모릅니다. 그러니 저는 이 글을 통해 이러한 기술 발전을 비판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 점을 놓치지 마세요. 우리 현대 사회에는 우리의 영적 필요를 채워줄 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의학도, 알고리즘도, 기계도, GPS도, 과학적 돌파구도, 파스칼이 말했듯이 우리 삶에 신이 만든 구멍이 생긴 것을 메울 만큼 충분한 것은 없습니다.

아시다시피,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이러한 현대적 형태의 힘은 저에게, 그리고 제 안에서 많은 것을 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수를 용서하고, 파괴적인 성향을 거부하고, 겸손을 보이고, 이 시대에 바르고 경건한 삶을 사는 것은, 바울이 디도서 2장에서 말했듯이, 고통과 고난 속에서도 기쁨과 인내를 보여주고, 섬기도록 이끌고, 마음이 완악해지려 할 때 부드럽게 하고, 생각을 정화하고, 예수님의 눈으로 다른 사람과 그들의 복잡한 모습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해 기꺼이 노력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다른 것, 다른 곳, 다른 누군가에게서 오는 다른 힘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 삶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드러내는 가장 심오하고, 가시적이며, 설득력 있는 방식이라고 단언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신앙을 주장하는 방식입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세상에 복음을 전하는 방식입니다. 어떻게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그리스도인의 삶에 다른 종류의 타당성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타당성 구조는 사회학자 피터 버거가 우리의 신념을 형성하고 형성하는 배경 이야기를 살아가는 방식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표현입니다. 이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가 선포하는 미덕, 거룩함, 그리고 신앙의 삶에 타당성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사람들은 우리의 말과 의견만 듣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신앙이 실제로 드러나는 것을 보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그리스도인의 지혜의 열매를 보아야 합니다. 우리 삶 속에서 하나님의 능력의 승리를 보아야 합니다. 우리 믿음에 수반되는 기쁨, 평화, 그리고 소망을 보아야 합니다. 오늘날, 21세기에는 보는 것이 곧 믿는 것입니다. 세상은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인답게 행동하는 모습을 보아야 합니다.

저는 예전에 밤에 잠을 잘 자게 해 주는 약을 광고하는 광고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광고 속 목소리가 말했습니다. "걱정 마세요. 그 약은 제게 습관이 아니에요." 그리고 제가 연결지어 생각해 보면, 가벼운 신앙은 "걱정 마세요. 이건 제게 습관이 아니에요."라고 말하는 신앙입니다. 우리는 값싼 기독교 신앙을 보여왔고, 따라서 가치도 낮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뭐라고 말하든, 그분은 가벼운 신앙을 가진 분이 아니셨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미지근하지 않았습니다. 진지했습니다. 그분은 대가를 기꺼이 치르셨습니다.

둘째, 변화된 삶의 힘은 우리가 창조된 삶입니다.
종교, 특히 기독교는 종종 다소 매력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묘사됩니다. 하지만 성경은 다른 이야기를 합니다. 디모데전서에서 바울은 진정한 생명을 붙잡는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골로새서 2장에서 그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충만함을 묘사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마태복음 11장에서 지친 자들을 안식의 리듬으로, 요한복음 10장에서 충만하고 풍성한 삶으로 초대하십니다. 마태복음 6장과 산상수훈에 대한 가장 잘 요약된 설명 중 하나는 존 웨슬리의 말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마치 예수님께서 '보라, 내가 네 영혼이 사모하는 것을 네게 보이노라'라고 말씀하시는 것과 같습니다."

당신이 오랫동안 헛되이 찾아 헤매던 길을 보십시오. 즐거움의 길, 고요하고 기쁜 평화로 가는 길, 아래 하늘과 위 하늘로 가는 길입니다. 이것들이 바로 당신의 영혼이 갈망하는 것입니다. 당신의 가장 깊은 갈망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이것은 기쁜 소식입니다. 기독교 전통에서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의 가장 깊은 갈망의 대상이며 목적지라고 믿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그의 저서 『고백록』 서두에 남긴 유명한 말을 떠올려 보십시오. "주님, 당신은 우리를 당신을 위해 만드셨고, 우리의 마음은 당신 안에서 안식을 찾기까지 쉼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성령을 통해 우리에게 능력을 주시는 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증거하고, 기독교 교리를 구현하고,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하나님과 그의 아들 예수님의 성품을 반영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증거 합니다
그렇다면 그 성품은 무엇일까요? 이상합니다. 이상하고 다릅니다. 예수님의 능력을 생각해 보십시오. 그분은 당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하실 수 있었습니다. 물을 포도주로 바꾸시고, 병든 자를 고치셨습니다. 죽은 자를 살리시고, 폭풍을 가라앉히시고, 잘린 귀를 다시 붙이시고, 물고기 입에서 로마 세금을 위한 화폐를 꺼내실 수 있었습니다. 화난 회당 참석자들이 그를 절벽에서 떨어뜨리려 했을 때, 그는 그들 사이를 지나가실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능력에 유혹당하고 매료된 자들은 결국 실망하게 될 것입니다. 한 신약학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예수님의 가장 위대한 기적은 그분이 행하지 않으신 기적입니다. 그분은 내려오실 수 있었음에도 십자가에 매달려 계셨습니다." 타인에 대한 사랑 때문에 힘을 억누르는 것도 그 자체로 힘입니다.

우리 삶 속 하나님의 능력에 대한 많은 부분은 문화적 관습과 상충될 수 있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우리는 조금 이상하게 보일 것입니다. 빌립보서 2장 5절부터 8절까지를 기억하십시오.

*빌립보서 2장 5-8절,
5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6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7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
8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그러나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졌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 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습니다. 그리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을 때에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우리가 이러한 능력을 나타내면 세상이 주목할 것입니다. 겸손의 항체가 교회의 혈류를 통해 흐른다면 세상은 예전과 같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군중 속에서 예수님의 옷자락을 만진 고통받는 여자의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성경에서 예수님께서 능력이 자신에게서 떠나는 것을 느끼셨다고 말씀하신 것을 기억하십시오. 능력을 뜻하는 헬라어 단어는 ‘두나미스’이며, 우리의 다이너마이트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다이너마이트는 무엇일까요? 21세기 우리의 힘은 무엇일까요?

첫째, 거룩하고 정직하며 경건한 삶입니다. 거룩한 삶, 즉 당신의 삶의 방식을 당신의 주장으로 삼으십시오.
둘째, 온전함, 기쁨, 만족, 기쁨, 소망의 삶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충만함입니다.
셋째, 겸손, 자신과 삶을 타인의 유익을 위해 바치는 것, 다른 존재로 구성된 존재, 마음이 굽어지고 바깥쪽으로 휘어진 존재, 기이하고, 독특하고, 좋은 의미로 독특한 존재입니다.
현대 기술은 이런 일을 할 수 없지만 하나님의 능력은 할 수 있다고 장담합니다. 이것이 진정한 21세기의 힘입니다. 다른 어떤 것도 할 수 없는 것을 하나님께서 하실 수 있는 것입니다. 영국 복음주의자 집시 스미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그리고 그리스도인 복음서, 이렇게 다섯 복음서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처음 네 복음서를 결코 읽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 삶, 거룩한 삶, 충만하고 번영하는 삶, 겸손한 삶에서 역사하시는 성령의 능력, 이것이 우리의 증거입니다. 환멸에 빠진 세상에 다섯 번째 복음이 되기를 열망합시다. 지금 이 순간, 진정으로 보는 것이 곧 믿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이너마이트가 되기를 열망합시다.

우리가 강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이 우리 안에 있고 그분의 영이 우리 가운데 거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이 능력, 그분의 능력을 주시기를 원하십니다. 교회도 우리가 기도할 때 응답하십니다. 하나님은 우주에 숨어 계시는 하나님이 아닙니다. 항상 함께하시는 관계적 하나님이십니다. 우리 교회의 사명은 세상을 향한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이 21세기의 능력, 다섯 번째 복음, 성령 충만한 거룩한 삶이 우리가 이 세상을 증거 하는 방식이라고 확신합니다.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축복이 함께하기를 빕니다.





=============


▶김의신 박사님(MD 엔더슨 암센터 종신교수님, 서울대 석.박사 논문지도교수님)-2부

여러분 만나서 반갑습니다. 저도 어려서부터 이렇게 교회도 열심히 다니고 또 새벽 기도회도 자주 갔지만은 대부분 뭐 4시나 5시에 일어나서 새벽 기도회를 갔는데 오늘은 2시에 일어나 가지고 이렇게 왔는데 정말로 아마 세계에서 이렇게 많은 새벽 기도회에 많은 청소년들이 참석하신 건 아마 제가 들어본 적도 없고, 이렇게 정말 한국 교회가 정말 간절한 기도를 통해서 우리한테 새로운 소망을 줄 거라 믿습니다.

아시겠지마는 작년 1월 달에 미국의 이름난 심리학자 마크넬슨이라는 사람이 한 달 동안 한국을 방문하고 나서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가 한국이다. 이렇게 얘기를 해 가지고 굉장히 저도 충격적이지만 많은 우리 교포들이 굉장히 실망하고 그랬습니다. 제가 미국에서 55년째 살고 있는데, 제가 한국을 떠날 때는 정말 희망이 없이 보여서 떠났습니다.

그런데 이제 하나님의 은혜로 정말 기적과 같은 참 발전이 있어 가지고 지금은 세계 어디를 가도 한국 사람이라는 것이 자랑스럽고 또 많은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정말 많은 나라에서 많은 젊은 사람들이 한국을 배우려고 그러고 인제 이런 시대에 가장 우월한 나라다 그리고 제가 정신과 의사들하고 얘기해 보니까 넷 중의 하나는 다 우울증에 빠져 있다. 그러니까 한국 사회는 병든 사회다 이렇게 얘기할 수밖에 없다. 이거예요.

인제 이렇다는 것은 정말 참 안타깝고 왜 그런가를 우리들이 늘 생각하면서 우리 후세들에게 뭔가 좀 이 우울증이라는 정신병이거든요. 그러니까 이걸 해결하도록 다들 애써야 되겠다.. 이런 말씀을 먼저 드리고 제가 주어진 시간이 짧기 때문에 말을 좀 빨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인제 예방학 원리 전문의사고 이제 미국에 가서 여러 전문 분야를 연수를 하고 암에 대해서 특히 인제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그거에 대해서 연구를 한 지난 한 50여 년 동안 해오고 있다가 은퇴해 가지고 다행히 서울대학에서 초청을 받아 가지고, 봄 가을에 대학원 학생들을 지도 하기 위해서 3개월씩 머물고 있습니다.

와서 있는 동안에 이제 여러 곳에서 초청을 받아서 건강에 대한 강의도 하고 또 인제 학생들에게 무엇보다도 건강에 관해서 제가 지난 15년 동안 꽤 제가 아는 범위에서 많은 조언을 주고 했는데도 불구하고, 지난 15년 동안 이렇게 보면 별로 달라지는 게 없어요. 우리 학생들에게 절대로 담배를 피면 안 된다. 그렇게 얘기를 해도 안 됐길래 제가 신문에다가 왜 담배가 나쁜가를 상세히 기고도 하고 했는데도 여전히 담배를 많이 피우고 있어요. 그리고 뭐 우리 몸에 좋지 않다는 여러 가지를 이제 강조하고 했는데도 달라지는 게 없어요. 왜 그럴까 인제 이런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여기에 오늘 또 젊은 분들이 많이 와 계신다는 얘기를 듣고 참 반가웠는데 우리 몸에 대해서 제가 잠깐 이제 말씀을 드리고 이제 얘기를 할 텐데 우리 몸은 정말로 신비스럽고 정교하게 하나님께서 창조해 가지고 요새 인제 이 몸에 대해서 연구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 예술을 믿게 됐다. 이런 보도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간단히 생각해도 생각해보세요. 남자에게서 나오는 정자 하나가 여자에게서 나온 그 난자하고 합쳐 가지고 그 두 세포가 하나로 이렇게 인제 만들어지는 거예요. 그 배아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우리한테 필요한 모든 조직이 인제 발전하는 거예요.

그런데 이게 인제 정말 잘못되는 수도 가끔 있지만은 대부분은 이게 경 정교하게 이렇게 우리 몸에서 뼈 살 뭐 여러 가지 인제 장기 이런 것이 다 형성돼야 되는데 이게 이제 사람마다 다 달르게 돼 있어요. 우리 몸에 한 10조개 세포가 있는데, 그 안에 핵이라는 게 있고 핵 안에 염색체라는 게 있어요. 그 안에 인제 유전자 물질이 전달되는 핵산이라는 그 화학물질이 있는데, 거기에 이제 4개의 염기가 약 30억 쌍으로 꽈배기처럼 이렇게 구조가 돼 있어요. 그 4개의 염기가 사람마다 배열이 다 달르기 때문에 이 똑같은 사람이 있을 수가 없게 돼 있어요.

우리 모두는 다 다르게 생겼지만 그걸로 또 우리 성격이 다르고 성품이 달르고 생각이 달르고 이렇게 돼 있어요. 그걸 고칠 수는 고칠 수도 없어요. 그러니까 사람을 바꾼다는 건 하나님만이 할 수 있지 절대로 옆에서 남편 또 아내 뭐 이런 사람이 제 맘에 안 든다고 바꾼다는 건 이건 있을 수가 없는 일이에요. 많은 젊은 분들이 요새 결혼을 마음에 드는 사람을 못 찾아서 결혼을 못 한다고 그래요. 그건 기본 우리 생리라든지 우리 몸의 구조를 몰라서 그러는 거예요. 절대 자기 마음에 드는 사람이 있을 수가 없게 돼 있어요. 그러니까 더군다나 그걸 내 맘에 들게끔 바꿔보겠다. 이렇게 하는 건 전 진짜 어불상설 절대 있을 수가 없어요.

그러니까는 우리가 인제 인간관계에서 제일로 중요한 것은 아까도 이제 예 우리 오늘 초청받으신 케이빈 브라운 목사님 말씀하셨듯이 겸손, 미국 교회를 제가 오래 다녔는데 미국 교회에서 항상 가장 중요시 기도하면서 강조되는 것이 우리를 낮춰달라. 나를 겸손하게 해 달라 그게 가장 중요한 게 모든 종교가 다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이 겸손입니다. 우리 인간관계에서 자기를 낮추면은 그야말로 만사형통을 할 수 있는데, 그게 안 되기 때문에 모든 문제가 생기는 걸로 우리가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이 아까 우리 주기도문에서 다 강조한 그런 기도도 해야 되지만 플러스 자기 자신을 낮춰달라 우리 예수님께서 돌아가신 그 십자가가 근본 뜻은 자기를 부인하는 우리가 예술을 믿는 게 뭐냐 생각해 보시면은 다른 게 아니에요. 자기를 부인하는 거예요. 그리고 예수님을 나의 구주로 저도 모세 신앙으로 어려서부터 교회를 열심히 다니고 했어도 그 의미가 내 마음속에 이렇게 들어온 것은 저도 미국에 가서 제가 전도할라고 보니까 아 내가 그 제대로 지금까지 이해를 하고 있는가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리고 생각을 좀 깊이 하게 되고 어 여러분들 생각해 보세요. 이 교회를 열심히 들락날락 한다고 그래서 예술 잘 믿는 게 아니에요.

항상 이렇게 인제 말씀을 통해서 잘 배우기도 하지만 스스로 생각을 하고 우리 인간은 아까도 파스칼 얘기해 파스칼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 그래서 갈대는 연약한 존재예요. 흔들흔들하죠. 바람에 그러나 생각은 엄청난 파워를 가지고 있어요. 생각 그런데 이제 데카르트 내가 존재하는 것이 생각하기 때문에 존재한다. 이러잖아요. 그러나 이제 생각 가지고 안 돼요. 지금은 기억을 잘 해야 돼요. 생각만 해 갖고는 안 돼요. 에 우리 몸의 뇌에 그 이제 히포컴파스라는 편협체 뇌 밑바닥에 있는 거기에서 새로운 정보가 저장하게 돼 있어요.

근데 거기에서 어 뇌피질로 전두엽으로 이게 전달이 돼서 저장하게끔 돼 있는데, 그 사이에 에 여러 가지 방해물이 있어 가지고 전달이 안 되면은 이게 인제 뇌에 여러 가지 질환이 생기는 거예요. 특히 인제 치매 이런 거 뇌세포는 약 천억 개가 되는데 그중에 40억 개 정도 이하로 되면은 뇌 기능을 못 해요. 근데 그걸 왜 그냐 언제 그 세포 세포 사이에 여러 가지 찌꺼기가 껴가지고 방해가 되면은 이게 이제 신경 전달이 안 되게 한 세포가 신경세포가 약 만 개하고 연결됐어요.

전깃줄을 만기에 그러니까 뭐 순식간에 아무리 요새 뭐 어 dna 컴퓨터 무슨 고성능 컴퓨터가 나와도 우리 뇌만큼은 아직은 그렇게 기능을 할 수가 없어요. 더군다나 이율 배반적인 원수를 사랑해라 뭐 이런 식의 명령은 어떻게 할 수가 없어요. 이 기계가 원수를 죽여라 그러면 되는데 그게 안 되게 돼 있어요.

어 그런데 그만큼 우리 몸이 정말로 이게 인제 묘하게 돼 있는데, 어 이게 인제 20대까지는 이 세포가 왕성하게 자라 20세 그러면 20세가 지나면서부터는 세포가 이제 퇴화 되기 시작해 죽어요. 한 일주일 살다가 죽어 그러니까 이제 한 40부터는 새로 생기는 세포하고 죽는 세포하고 거의 비등해져요 그러나 60부터는 거꾸로 이 퇴화 되는 세포가 더 많아요. 뇌 같은 걸 보면 처음에 생겼을 때 세포가 대개 뇌 밑바닥에서 생겨요 가운데에는 어떤 생물체든지 가운데부터 이제 세포가 생기는데 그걸 뇌간이라고 해요.

가장 우리 숨을 쉬고 뭐 이렇게 어 우리가 살아야만 되는 그런 인제 기능을 하는 것이 가운데 있고 그다음에 그 밑바닥에 대개 오관 여러 가지 인제 뭐 듣고 보고 감정 이런 것이 다 귀 옆에 듣는 인제 듣는 거 저 뒤에 가서 보는 거 그러다가 한 20세가 돼야 이 전두엽이 이제 제대로 발달 전두엽도 여섯 가지 층으로 돼 가지고 이 기능이 다 달렸는데 사람만이 그 전두엽이 아주 왕성하게 발달돼 가지고 이성적인 판단을 해요. 근데 이제 60이 되면서부터 퇴화 될 때 보면은 이 거꾸로 돼요. 전두엽부터 이게 퇴화 되기 시작해 그러니까 한 80세가 되면은 어린애처럼 되는 거예요.

어린애처럼 그래 가지고 80세 된 사람들은 고집이 세져요 남 말 안 듣고 자기가 자기 아니면 안 된다고 그러고 그게 다 늙어가는 증세예요. 어 그리고 이렇게 그러니까 인제 이렇게 60부터는 그런 생리적인 것을 이렇게 어떻게든지 인제 더 보충하기 위해서 더 많이 일을 해야 되고 더 많이 자극을 받아야 돼요. 그러니깐 뭐 어 은퇴해 가지고 집에 있으면은 마누라 남편 잔소리가 갈수록 심해지는데 그것을 나쁘게 생각하면 안 돼 그게 굉장히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거야. 자극을 내서 요 기능을 회복시킨다니까 그런 자극이 노인들의 젤로 문제는 외로움이에요.

외로움 그러니까 제가 이제 결론부터 말하자면은 우리가 건강해야만이 예수도 잘 밀 수가 있어요. 그런데 어 제가 주위에서 이렇게 보면은 나이가 들면은 게을러져 가지고 교회도 그냥 뭐 한 2주에 한 번씩 나오고 뭐 새벽 기도에는 아예 안 나오고 이 수요 예배 금요 예배 같은 것도 마지못해서 나오고 그래요. 그런 것이 굉장히 이제 건강에 나쁜 거예요. 왜 교회를 오는 것이 제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좋냐 하면은 우리 건강의 정의가 이렇게 인제 육체적인 안녕뿐만 아니라 이 정신 영혼 그리고 요새는 이제 사회적인 건강이다.

해서 이 대인관계 이게 대인관계를 잘 못하는 사람은 건강한 사람이 아니에요. 옛날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이렇게 유대관계가 있어야만이 건강하게 돼 있어요. 우리 몸이 다 아시겠지마는 흙으로 된 것을 하나님의 영을 불어 가지고 우리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서 만드는 거예요. 그러기 때문에 아무리 참 악한 사람 나쁜 짓만 하고 어 참 특히 하나님을 거역하는 사람이라도 제가 볼 때는 하나님은 그 사람을 버릴 수가 없어요.

마치 우리 어머니들이 제가 어려서부터 가정교사를 오래 했는데 말썽 꾸러기들을 가정교사를 많이 해서 보면 아빠들은 화나면은 그 말썽콜이 자식들을 쉽게 버릴라고 말을 해요. 저 새끼 이제 내 자식으로 삼지 않겠어 그런데도 그 엄마들을 보면은 엄마들은 절대 버릴 수가 없어요. 자기 뱃속에서 나와서 그런지 그게 자기 분신처럼 생각해요. 우리 하나님도 아마 우리 인간들을 자기 형상으로 만들어 그 영을 불어서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개판을 쳐도 절대 우리를 버릴 수가 없어 사랑할 수밖에 없어요.

그런데 정말 이제 여러분들이 그러니까 40대부터 이게 병드는 나이예요. 40대부터 이게 40대부터 이 건강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건강 해야만이 여러분이 목적 있는 삶을 살 수 있어요. 지금 여기 와서 이렇게 계시는 게 뭐 때문에 은혜를 받아서 은혜 받아서 어떻게 하겠다는 거예요.
우리의 삶의 목적은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고 영광을 어떻게 드려요 이제 그러니까 늘 기도하면서도 나를 낮추는 기도도 중요하지만은 내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뭐를 할 수 있었는가 그걸 도와달라고 기도를 해야 돼 어 내가 어 하나님의 뜻에 살 수 알맞게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하게 살 수 있게 어떻게 하나님 뜻이 뭔가를 모르는데 그걸 나한테 이렇게 참 알려줄 수 있도록 그걸 기도하셔야 돼요. 그러면은 어떤 인제 암시라든지 어떤 느낌 생각에서 아마 이제 알려주실지 모르니까 다른 거 뭐 맨날 달라고 고쳐달라 뭐 이런 것은 믿음만 좋으면 하나님께서 알아서 해 주게 돼 있잖아요.

다 우리의 모든 걸 아시니까 기도의 중점은 우리 믿음을 강하게 해달라 믿음을 강하게 해달라 그것을 중점으로 하셔야 돼요. 이 왜 제가 담배를 아까도 강조했는고 하니 많은 분들이 담배 허면은 그저 폐에 가서 염증을 일으키고 폐암이나 생기는 줄 알아요. 근데 인제 아까도 말했지마는 모든 병의 기전을 연구해 보면 다 그 유전자의 변이가 생겼기 때문에요.

유전자의 변이가 왜 생기냐 그 조상을 잘못 만나 가지고 나쁜 유전자를 이게 물려받은 것은 한 15% 정도뿐이 안 돼요. 사실상 물려받았다. 하더라도 반드시 그 병이 생기는 건 아니에요. 근데 중요한 것은 나머지 85% 그게 주로 이제 생활 습관 환경 환경 요소 이런 게 있는데, 환경 요소에 관련돼서 미세먼지 미세먼지가 들어가면은 뭐 염증을 우리 몸에서 만성염증을 이렇게 해요. 그럼 뭐 각 장기에서 모든 기능이 떨어지게 돼 있어요. 근데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를 어떻게 우리가 들이 마실 수가 없잖아요. 안 들이 마실 수가 없잖아요. 우리 묘하게 우리 몸은 반드시 산소가 있어야 만이 우리 몸이 작동하게 돼 있어요.

산화작용이란 걸 해야지 그런데도 하나님이 산소를 우리 몸에서 만들어내지 않고 있어요. 산소는 반드시 공기의 숨을 들이마셔가지고, 이 공기에서 들어가야 돼요. 공기가 들어가서 이제 폐에서 해서 전신에 퍼져서 그런데 그것도 적당히 산소가 들어가야지 너무 많이 들어가면 이게 우리 몸을 해치게 되어 있어요. 그러니까 마치 이 쇠 덩어리가 오래 공기 중에 두면 녹슬어 버리잖아요.

그 산소가 많아서 그러는 우리 몸도 산소가 많으면 뭐든지 우리 몸은 아무리 좋은 것도 적당히 있어야지 지나치게 많으면 반드시 해치게 돼 있어요. 아무리 좋은 음식 저한테 신세를 졌던 많은 그 재벌 환자들 우리 공통 적으로 하는 것이 김 박사 나는 의사들이 뭐랄까 좋다고 추천하는 것만 먹고 살아왔는데 왜 암에 걸렸냐고 혼자서 너무 많이 먹어버렸으니까 그걸 적당히 다른 사람하고 나눠서 어 적당히 먹어야지 그게 문제 요새 뭐 저한테 많은 사람이 물어봐요. 아 바이타임이 뭐가 좋은데 그거 뭐 주사를 맞아야 됩니까?

뭐 어찌 우리 몸은 기본 진리가 이 적당히 들어가게 돼서 그러니까 절제하는 생활이 건강에 가장 기본 진리예요. 절제 이 절제는 어려서부터 해야 돼요. 요새 젊은 엄마들이 아들 하나 딸 하나 귀엽다고 해 가지고 그냥 애가 에 좋다는 그냥 초콜렛 무슨 뭐 햄버거 이런 것만 내게 되니까. 어려서부터 이게 계속 나쁜 것만 먹어대는데 이상스럽게 우리 뇌는 나쁜 걸 더 좋아해요. 오래 기억해요. 나쁜 걸 그러기 때문에 일단 중독이 걸리면 이론적으로는 고칠 수가 없어요. 우리 뇌가 나쁜 거 나쁜 거에서 오는 그 희열을 오래 기억해요. 좋은 것은 저장했다가 쉽게 사라져요 근데 나쁜 것은 오래오래 기억해요.

그러니까 이제 그 간통죄로 걸리는 사람들 이런 사람들은 계속 그걸 못 잊어요. 그러니까는 아예 그러니깐 그런 나쁜 것은 이게 뭐랄까 미리 정말 이를 악물고 이렇게 거기에 빠져들지 않도록 그렇게 해야지 이 담배를 어려서부터 피던 사람들이 마약을 하는 거예요. 그 피는 것이 비슷하니까 그러니깐 그리고 이 습관이라는 게 오래 우리 몸이 이렇게 자꾸 습관을 기르면 3살 버릇 80까지 간다 옛날부터 우리가 들은 말이 아주 정확한 말이에요.

그러니까 3살 때부터 버릇을 제대로 가르쳐야 돼 그러니까 어려서 주일 학교에서 이렇게 참 하나님 말씀 듣고 뭐가 옳다 나쁘다 이건 오래 가요 오래 기억에 근데 어려서부터 남고 훔치고 남 때리고 뭐 이렇게 장난이라도 그런 사람들은 자꾸 그게 즐거워하는 그 나쁜 것이 오래 저장이 된다니까 그러니깐 인제 다시 돌아가서 이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요 담배가 그러니까 폐 질환뿐만 아니라 뭐 각종 심장 무슨 뭐 온암 뭐 암도 이런 폐암은 좋은 암이에요.

요새 더군다나 폐암은 좋은 약이 많이 나와 가지고 얼마든지 우리가 몇 년씩 끓고 하는데 담배로 가령 생기는 가장 처음 생기는 암이 혀 바닥 목구멍 식도 또 후두 이외에는 담배가 들어가면서 니코틴이 거기 가서 드러붙어 가지고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니까 그러면은 금방 환자가 증세가 있으니까 대개는 이제 수술 초기 초기에 암들은 대개 수술을 해요. 이제 그래도 아주 나쁜 암들은 수술하면 안 돼요.

수술을 해서 더 나빠져요. 자극이 돼 가지고 그러니까 아주 나쁜 암들은 처음부터 전신 치료인 이제 항암치료 이런 걸 한 다음에 돌아다니는 세포 이런 걸 어느 정도 이렇게 약화시켜 가지고 그 다음에 인제 수술하는 것이 원칙이에요. 어 그런데 이제 에 그것도 알려진 지가 한 20~30년뿐이 안 돼요. 옛날에는 눈에 보이는 건 무조건 다 자르면 좋겠다. 이렇게 했는데 조사해 보니까 아 모든 암은 어 다 눈에 보이는 걸로는 국소 병이라고 하는데 그 국소병이라는 게 아니에요. 암은 전신 병이에요. 왜냐하면, 유전자가 변화되기 때문에 그래서 인제 그런데 이제 수술을 샛바닥이나 성대 위에 식도를 잘라내면 어떻게 되겠어요.

일찍 그 수술을 하면은 살아는 있죠. 미국 환자들은 한 5년 10년 돼도 그저 살아있다는 게 감사해요. 근데 한국 환자들은 벌써 3년만 되면 이래 가지고 내가 왜 살어 어 어 그래 가지고 아주 그냥 죽고 싶다는 얘기를 한국 분들이 많은 위장 계통 암 또 진단이 늦기 때문에 왜냐하면, 이제 달 위나 장기 이런 것이 막혀야만 증세가 났기 때문에 증세가 진단이 늦지요 그래도 이제 뭐 이렇게 항암치료를 하면서 나중에 수술도 하고 하는데 우선 제일 불편한 게 먹고 먹고 마시는 거죠. 먹고 마시는 거 근데 묘하게 이거 먹고 마시는 것은 완전히 그 우리 뇌 기능하고 이게 아주 아주 밀착돼 있어요.

그 인제 연구 들을 해보면 이 장 장에 흡수하는 면적이 한 테니스 코트 정도 돼요. 펼쳐 놓으면은 그런데 이 뇌에서 나오는 중추신경이 12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열 번째 미주신경 ‘베이거스너브’라는 그것이 가락을 쳐 가지고 위장에 다 분포돼 있어요. 그 뇌 세포가 흡수 또 인제 해독 작용 이런 걸 하게끔 돼 있어요. 그러니까 아무리 좋은 음식을 이 기분 나쁜 상태에서 먹고 마시면 흡수를 안 할라 그래요.

그러니까는 아무리 고급 음식점에 가서 고급 요리를 기분 나쁜 상태에서 이렇게 먹는 건 돈만 없애는 거야. 또 반대로 아무리 더럽고 우리는 6.25 때, 그냥 길가에 떨어진 빵 쪼가리 뭐 이런 거 아무거나 막 먹었어요. 그래도 배탈 난 사람 본 적이 없었어요. 왜냐하면, 감사한 마음으로 먹으니까 그 이 몸이 그렇게 흡수할 때 에 이렇게 좋은 거 나쁜 것을 알아서 구분해서 흡수한다니까요? 어 그리고도 이 세로토닌이라는 뇌에서 중요한 성분이 우리 인지능력 이런 걸 이제 관여하는 데 중요한데 이게 장에서 만들어져요 이게 장이 불편한 사람은 절대 건강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장은 제2의 뇌라고 옛날부터 그랬어요. 그런데 이제 좀 죄송하지만은 한국에 제가 본 여자분들치고 위장병이 없는 여자가 없어요. 왜냐하면, 유독 그냥 온 세상 근심 걱정을 다 하니까 특히 인제 여기 계신 분들은 하나님을 믿고 또 인제 이렇게 하나님 말씀대로 살겠다고 아마 그렇게 작정하실 텐데 병을 딱 걸리면은 하나님을 잊어버리는 것 같애 음 그래 가지고 온통 근심 걱정을 해요. 이 신학 성경에도 근심 걱정하지 말라는 게 한 370번 이렇게 나온다고 하던데 그렇게 듣고 배우고 했는데도 근심 걱정을 해요.

그래서 근심 걱정을 하면은 에 우선 식욕이 떨어지게 돼 있어요. 어 그리고 인제 이렇게 그 위장이 작동을 안 해요. 그 신경 때문에 그러니까 뭐 근심 걱정하면 탁 자기 느낌에 모든 음식이 위에서 다 걸리게 돼 있어요. 그러니까는 먹지 못하고 이러면은 그 독한 약 치료를 계속 할 수가 없죠 그래서 제일로 인제 암 치료에 중요한 것은 이게 먹고 마셔서 체중을 유지하면서 체력을 어 이게 강하게 해야만이 계속적인 치료를 해요.

근데 이제 왜 우리가 병을 못 고치냐 여러분이 생각에 서울대학 같은 데 이름난 의사한테 가면은 병을 다 고칠 것처럼 그렇게 착각을 해요. 지금 한국에 의료 문제가 왜 생기는 거니 이 착각 때문에 생기는 거예요. 많은 그 뭐 시골에 있는 분들이 서울에 가면은 특히 서울대학 같은 데 가면은 제일로 치료가 잘 되겄다 이런 착각을 하는 거예요. 그런데 제가 볼 때는 정반대예요. 서울대학에는 제가 15년 동안 보니까 저도 처음에는 환자를 보라고 그래서 제가 아무리 빨리 봐도 30분 걸리더라고요. 아무리 빨리 봐도 적당히 하려고 그래도 그런데 어유 5분 이내에 안 보면 선생님은 환자 보면 안 됩니다. 이렇게 하는 거예요.

근데 보통 교수들이 3분에 봐요. 3분에 미국에서는 우리가 한 환자당 최소 1시간 봐요. 새 환자는 3시간 내지 4시간 그러니까 교수는 하루에 8명 이상을 못 보게 돼 있어요. 그러니까 이제 대신에 그 병원비가 한국보다 최소 10회죠 어 그렇다고 그래서 뭐 미국 사람 그렇게 치료한 환자들이 더 오래 살고 더 잘 치료가 됐냐 절대 그거 아니에요. 저더러 아직도 뭐 어떻게든지 저 미국에 가서 좀 치료받기에 누구 좀 소개해 달라 부탁하는 사람이 있어요.

절대 안 된다고 안 된다고 하면은 예 하고 다른 사람한테 부탁해 가지고 결국 가시더라고. 그게 참 이해가 안 돼요. 저는 정말 진실되게 조언을 해드렸는데도 어 줄기세포 일본에 가서 하는 게 좋냐 안 좋냐 절대 안 된다고 그렇게 했는데도 결국 가시더라고. 어 갔다 와서 다 후회해 그러니까 인제 지금 왜 그 우리가 의사들이 고친 병이 하나도 없어요. 고 저 감기 고친다고 하는 사람 들어봤어요.
못 고쳐요 절대 못 고쳐 모든 바이러스 절대 못 고쳐요 계속 변형을 하니까 그 생물체들은 매일매일 변이 왜 암도 못 고치냐 매일매일 암 상태가 달라져 유전자 변이를 해 살아 특히 치료를 하면 더 빨리 변해 살아남기 위해서 그런 데다가 제가 처음에 말씀드렸지만 개인 개인마다 아 이게 그냥 구조가 화학적인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약을 써도 다 반응이 달라요. 그걸 어떻게 맞추겠어요. 제약회사가 뭐 수백 개가 돼도 그거 안 돼요. 그냥 일률적으로 그리고 더군다나 그래서 인제 어떤 이야기 이 사람한테 들을까? 안 들을까를 알고 쓰는 의사는 한 사람도 없어요. 알 수가 없어요.

그 환자들은 그걸 모르니까 저 고명한 의사가 쓰면 잘 듣겠지 이건 그 사람의 생각이에요. 그냥 써보는 거예요. 그러다가 안 들으면은 그냥 다른 것도 써보고 그 수밖에 없어요. 현재 그걸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요. 그런데 그 약이 듣고 안 듣고는 그야말로 하나님만이 알아요. 그러니까 장기려 선생 장기려 박사라고 지금 고인이 되셨는데 그분이 이제 저희 서울대학의 외과 교수였는데 첫 시간에 저더러 우리 학생들더러 여러분이 여기에서 아무리 공부 잘하고 열심히 해도 당신들이 환자를 도와줄 수 있는 건 10%뿐이 안 됩니다.

나머지 10%는 약이 도와주고 80%는 하나님이 결정하는 겁니다. 이렇게 말씀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인제 다들 아 저분은 크리스찬이니까. 당연히 그렇게 하시겠지 그 정도로만 저도 들었는데 저도 지금 50년 이상을 연구하고 환자 보면서 돌이켜 정확하게 맞는 말이에요. 그 말이 우리 몸이 그렇게 묘하게 돼 있어요. 그러니깐 어디를 가든지 죽을 사람은 죽게 돼 있어요. 그리고 살 사람은 어디 가든지 살아요. 그러니까 괜히 제주도 사람이 서울대학 올라고 갖은 애를 쓸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그게 진리예요.

그러니깐 에 그런 이제 이런 얘기를 제가 지금만 한 게 아니고 지난 15년 동안 여기저기서 많이 했어요. 그런데 여전히 고쳐지는 게 없어요. 저한테 와서 연수한 암 다루는 사람이 한 천여 명 돼요. 그래 가지고 지금 한국의 어느 대학에 가도 다 있는데, 이제는 다 인제 제 까마득한 후배들이니까. 근데 제가 여기 와 있는 동안에 이렇게 인제 방문해서 시골에 가보면 어떻게 지내고 있습니까?

환자가 없어 가지고 시골에는 그러니깐 미국까지 가서 연수하고 전문의가 되고 또 서울대학에 와서 서울대학에서 제가 트레이닝 한 사람들도 강남에서 개업을 했는데 3개월 동안 환자가 단 한 사람도 안 오더래요. 암 걸렸는데 온통 대학병원으로만 가는 거예요. 어 그리고 저기 광주나 부산에서도 그냥 돈 없는 사람 시골에 아무 연고가 없는 사람만 오지 서울에 뭐 연고가 있다든지 돈이 있다. 그러면 다 서울로 온대요 그러면 서울에 온 사람이 다 더 치료가 잘 됐든지 더 오래 살았든지 이러면 그 뭐 이유가 되죠. 근데 그런 서울에 와서 암치료가 더 잘 됐다. 하는 보고가 하나도 없어요.

그래서 제가도 말했지만, 미국에서 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제일로 이름났다는 제가 있던 그 엠젤리더슨 암센터에 와서 치료받았더니, 더 오래 살았다. 더 뭐 어 더 치료가 잘 됐다. 이런 보고가 없어요. 지금 여러분이 들어서 아시겠지마는 그런 이제 중립자 치료라는 게 기계 값만 3천억이에요. 기계 하나만 그 일본의 물리학자들이 이론적으로 아주 고성능 열로 해 가지고 암을 그냥 한 달 안에 완전히 녹여버려요 눈에 보이는 암만 그러니까 수술할 필요도 없이 이걸로 치료하면 모든 암을 치료할 수 있다. 이렇게 인제 하는 거예요.

그런데 그런 물리학자들이 모르는 것은 눈에 보이는 그 암 덩어리 주위에 눈에 안 보이는 암세포가 많이 있다는 걸 몰라 이게 지졌더니, 그 옆에 있는 눈에 안 보이는 것들이 이냥 뜨거우니까 이게 다 옆에 다른 기관으로 금방 퍼져버려요 그러니까 그 치료로 해 가지고 더 오래 살았다. 이런 보고가 하나도 없다니까 지금 줄기세포가 아 뭐 이론적으로 다 손상돼서 죽은 그 세포에다가 그 줄기세포를 넣으면 고 심장이면 심장, 뭐 거기서 세포가 자라나서 이렇게 완성이 돼야지 이론적으로 그런데 묘한 것이 그렇게 잘 안 돼요.

왜 안 되느냐, 하는 걸 잘 몰라, 더군다나 또 이게 그냥 어떤 사람은 그게 너무 막 자라버려 암이 돼 버려요 암이 너무 막 자라니까 안 자라면 아무 효과가 없고 또 자기 요새 인제 면역세포 인제 b셀 t셀 nk 셀이라는 게 nk 셀이 이론적으로는 제일로 인제 직접적으로 다른 여러 가지 몸에 들어오는 나쁜 것을 공격을 하는데 그게 아주 적은 양이기 때문에 그걸 뽑아다가 밖에서 증폭을 시켜가지고, 다시 집어넣어요. 이론적으로는 그럴 듯하죠. 근데 집어넣으면 자기 것에서 나와서 단지 외부에서 증폭돼서 들어갔는데도 거부 반응을 해, 몸에서 거부 반응 왜 거부 반응하냐? 잘 몰라요. 어 그러니까 이게 지금 그러니까 뭐 어 우리 가령 뇌라도 엄청나게 연구들을 하고 하는데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에 10%뿐이 지금 알지 못하고 있어요. 그렇게 꿈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 벨지스타도 아직도 몰라 왜 꿈이 어떤 사람에게 생기고 그 의미가 뭐고 잘 몰라요. 이게 모르는 그러니까 저도 이 암에 대해서 연구를 하면 할수록 모르는 게 나오더라고. 더 모르는 게 더 많이 나와 그러니까는 이제 저는 결론을 왜 우리가 이런 모든 병을 못 고치게 돼 있는가 생각해 보니까 아 이거 하나님이 우리를 딱 죽게끔 디자인을 해 놓은 거예요. 어 120년까지 못 살겠다. 했는데 죽여야 될 거 아니에요.

한 이제 어떻게든지 그런데 이 병으로 죽이는 게 제일 좋거든요. 이게 교통사고나 뭐 비행기 타고 떨어지고 이런 건 드문 예 드물게 그러면 자연적으로 죽게 하는 건 다 병으로 그러니까 반드시 60대에서 누구든지 대개 병 하나가 걸리게 돼 있어요. 80에서 85세 대개 세 가지 내지 5가지 이렇게 돼 있어요. 이게 90대만 대개 5가지 그래서 그 병들이 다 못 고치게 돼 있어요. 조금씩 끌다 질질 끌다가 죽게끔 돼 있잖아요. 어 그러니까는 올 곳이 온 거예요.

그걸 가지고 분통 터져 가지고 왜냐하면, 잠을 못 자는 사람들은 가진 것이 너무 많은 사람이에요. 비워야 돼 60부터는 다 남한테 이렇게 나눠가지고 비워야 그런 마음이 안 생겨 근데 묘한 것이 저도 경험했지만, 많은 의사들이 소위 이제 기적 기절이라는 것은 상식이나 과학적으로 설명이 안 되는 거 어 그런데 그런 기적이 이런 이제 병 치료하는 데서 보면 많이 생겨요 왜냐하면, 인제 이게 뭐 장기전으로 인제 치료를 해야 되니까. 한 5년 10년 하다가 돈 떨어져 그냥 기운 빠져 나 그냥 죽겠다고 그만두고 거기 죽어야 될 사람이 죽고 싶은데 안 죽는 거야.

나 좀 죽여달라고 하는 사람 있어요. 근데 방법이 없죠 그런데 그런 사람이 왜 사냐 이렇게 조사를 해보면 그런 병이 없어진 게 아니고 병이 어느 순간에 그냥 정지 상태에 있는 거야. 진전이한테 그 왜 그러냐 하는 걸 잘 몰라요. 근데 하여간 아 그런 사람이 꽤 많아요. 꽤 많아 뭐 1~2이 아니라 수십 명이거든요. 왜 그렇게 되느냐 이게 우리 몸은 결론적으로 시간이 됐으니까 우리 몸은 반드시 이제 육체적인 안녕을 취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해야 돼요. 운동 최소한 기본적인 것이 이제 걷기 운동 이 걷기 운동하면 다리만 튼튼해지는 걸로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데 그거 아니에요.

걷기 운동은 뇌 운동을 엄청나게 시켜요 이게 뇌가 정확하게 걸어야지 넘어지지 않고 올바른 기로 가고 운동을 굉장히 많이 해 어 걷기 운동 그게 찬양대가 제일로 건강한 것이 찬양대 성가대원들이에요. 성가대네요. 이 목 운동 폐활량이 이게 폐 기능을 증진시키거든. 그리고 인제 소위 인제 그 어떤 기도를 노래로 부르니까 그 기도의 뜻을 통해서 굉장히 이제 기분도 좋을 뿐더러, 그런 어떤 영예 양식을 받는 거예요.

영양제가 그리고 그래서 옥시토스라는 행복 호르몬이 증가되면서 동시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트졸 이런 것이 확 떨어져요 찬양을 부르면 음 그러니까는 교회에 와서 여러분은 엄청난 어 수지 맞는 그 응 지금 덕을 보고 있는 거예요. 왜냐하면, 말씀 듣지 찬양 듣지 그게 여러분 건강에 엄청난 약 안 먹어도 그게 다 약이나 마찬가지예요. 좌우간 시간이 금방 다 돼서 더 이상 얘기를 못 하니까 여러분이 그러면서 제일로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그 정신 마음가짐 그니까 모든 일에 처해서도 이게 그렇게 부정적이고 이렇게 소극적으로 생각하면 안 돼요.

안 될 일도 이 소망을 가지고 우린 또 믿는 사람들은 하나님이 계시니까 그래 가지고 이게 적극적이고 긍정적이고 이렇게 하다 보면, 기적이 생길 수도 있어요. 그러면서 인제 정말 제가 되겠지마는 교회를 열심히 다녀야 돼요. 늙어 늙어갈수록 교회를 더 열심히 나와야 돼요. 자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