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 줄어든 것도 성장률 탓?

경제성장률이 너무 떨어졌다고 아우성이다. 우리 경제가 일본처럼 장기불황에 빠질지 모른다는 경고도 나온다.

 

경제성장률은 국내총생산(GDP)이라는 지표로 측정한다. GDP가 1년 전에 비해 얼마나 늘어났느냐 하는 수치가 곧 경제성장률이다.

 

이 통계는 한국은행이 집계해 발표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분기(1∼3월)의 GDP 증가율은 2.7%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2분기(4∼6월)에도 이 수준을 크게 벗어나긴 힘들 것으로 본다. 외환위기를 겪었던

지난 1998년 -6.9%를 기록한 것을 빼면 전례없이 낮은 수준이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제로 성장 시대가 올 수도 있다고 걱정한다.

 

정부는 연일 대책을 내놓느라 부산하다. 종합투자계획이라는 것을 만들어 침체된 내수를 살리겠다거나 금리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해 소비심리를 자극하겠다는 발표가 꼬리를 문다. 벤처기업 육성책이나 최근 논란이 된

자영업자대책 등도 경제성장을 높이려는 정책들이다. 정치권에서는 정부의 살림살이인 예산규모를 당초 계획보다

늘리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좀 어려운 단어이지만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자는 것이다.

 

성장률이 낮아지면 어떻게 되길래 이렇게 난리들일까? 성장률은 일차적으로 고용과 맞닿아 있다. 경제가

일정 수준 이상 성장해야 일자리도 그만큼 늘어난다. 그래야 국민들 주머니도 두둑해진다.

기업이나 상인들도 여유가 생긴다. 국가경제 전체에 윤기가 흐르게 되는 셈이다.

물론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면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