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식퀴즈 734회-

1. 주택의 매매가격에 비해 전세가격이 몇 %인지를 뜻하는 용어는?

① 전월세전환율 ② 전세가율
③ LTV ④ DTI

2. 다음 중 ‘고가 주택’을 보유한 사람만을 겨냥해 부과하는 세금은?

① 재산세 ② 종합부동산세
③ 양도소득세 ④ 취득세

3. 통계를 분석할 때 비교 시점을 언제로 잡느냐에 따라 분석이 달라지게 되는 착시현상을 가리키는 말은?

① 기저효과 ② 낙수효과
③ 승수효과 ④ 구축효과

4. 외국인이 법인 설립, 인수합병, 기술 제휴 등을 통해 국내에 투자하는 ‘외국인직접투자’를 뜻하는 말은?

① FDS ② FDI
③ FDA ④ FTA

5. 수입품에 부과하는 조세를 뜻한다. 세율이 높아질수록 자유로운 무역 거래가 위축되는 효과가 있는 이것은?

① 관세 ② 개별소비세
③ 유류세 ④ 부가가치세

6. 소득이나 재산이 늘어날수록 세율이 감소하는 세금을 무엇이라고 할까?

① 직접세 ② 간접세 ③ 비례세 ④ 역진세

7. 대규모 건설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사업자에게 신용도나 담보와 관계없이 사업의 미래 수익성을 보고 대출해주는 금융기법은?

① 엔젤투자 ② 니치 마켓
③ 크라우드 펀딩 ④ 프로젝트 파이낸싱

8. 자금이 필요한 개인이나 기업이 온라인으로 사업계획을 공개하고 불특정다수에게 투자금을 모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는?

① 엔젤투자 ② 니치 마켓
③ 크라우드 펀딩 ④ 프로젝트 파이낸싱

1 ② 2 ② 3 ① 4 ② 5 ① 6 ④ 7 ④ 8 ③
---------------------------------------------------------

[커버스토리] 
수능 국어·논술 출제유형에 대비해볼까

물가·집값 폭등으로 지갑 두께가 얇아지자 ①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가 빈번해지고 있다.기업들이 중장기적으로 불어나는 ② 인건비를 제품 가격에 전가하거나 고용을 줄일 우려도 커지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상용근로자의 올해 3분기(7~9월) 월평균 임금 증가율(5.0%)은 분기 기준으로 2018년 1분기(7.9%) 후 가장 높았다. ③ 임금이 뛰는 것은 치솟는 물가와 관계가 깊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0년(4.0%) 후 최고치인 2.4% 안팎을 기록할 전망이다. 코로나19로 억눌렸던 ④ 가계 씀씀이가 불어난 한편 공장 가동률·설비 투자도 회복되고 있다. 수요가 늘면서 원자재·제품 가격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폭등한 집값도 임금을 밀어올린 ‘촉매제’ 역할을 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올 3분기 서울 부동산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은 17.6배로 집계됐다. 17년6개월 동안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울의 집 한 채를 매입할 수 있다는 뜻이다. 2018년 말 14.3배, 2019년 말 14.5배, 2020년 말 16.8배로 매년 PIR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뛰는 물가와 집값에 대응해 실질 구매력 수준을 유지하려는 가계가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중략)

원자재 가격 등 뛰는 물가로 어려운 기업에 임금 상승 요구까지 겹치면서 재료비·인건비를 제품 가격에 전가하거나 고용을 줄일 것이라는 우려도 상당하다. ‘수요·공급 충격→물가 상승→고용 감소·제품 가격 인상→물가 상승’ 악순환 고리가 생겨날 수 있다는 의미다. 인건비 상승에 직면한 ⑤기업이 고용을 줄이면 가계 소득·씀씀이도 덩달아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치달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커지는 물가 상승 기대로 근로자·기업은 임금·제품값을 올릴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물가는 오르고 기업은 고용·생산량을 줄이면서 스태그플레이션 흐름이 굳어지기 때문이다.

위 제시문은 한국경제신문 12월 7일자 기사의 일부입니다. 만일 기사와 유사한 글이 수능 국어 비문학 제시문으로 출제됐다고 가정해봅시다. 2022학년도 국어 ‘기축 통화’ 제시문처럼요. 이번 호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를 읽은 학생이라면 당황하지 않고 제시문을 읽어가면서 문제를 풀 수 있었을 겁니다. 대학별 상경계 논술 시험도 마찬가지죠.

이 제시문은 물가 상승(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스태그네이션)를 동시에 다루고 있습니다. 글 말미에는 커버 스토리가 다룬 스태그플레이션 내용도 실려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물가 상승과 고용 감소, 즉 스태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글이라는 점을 여러분은 알 수 있습니다.

생글생글이 국어 비문학 유형 출제자라면, 다양한 문제를 낼 수 있겠습니다. 첫 문제로 “이 글 전체가 주장하는 주제와 가장 잘 어울리지 않는 제목은 무엇인가?”를 물을 수 있습니다. ⑴ 물가 인상으로 임금인상 요구가 커진다. ⑵ 인건비가 늘어나면 기업은 고용을 줄인다. ⑶ 물가 상승과 고용 증가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킨다. ⑷ 주택가격 대비 소득비율 즉 PIR이 높을수록 집 사기가 어렵다. ⑸ 높은 물가와 높은 임금이 유지되면 기업활동이 감소한다. 정답은 (3)입니다. 고용 감소죠.

또 “위 제시문의 내용을 잘못 이해한 사람의 주장을 고르시오”라는 문제도 출제할 수 있죠. 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실질구매력이 낮아진다. ⑵ 임금을 올리면 근로자들이 일을 열심히 한다. ⑶ 비용이 상승하면 기업들은 제품값을 올릴 수 있다. ⑷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⑸ 가계가 소비를 줄이면 생산이 위축된다. 정답은 ⑵입니다. 제시문의 내용상 알 수 없는 보기입니다.

본문에 ①~⑤ 번호를 매겨서 출제하는 경향이 일반화돼 있습니다. “밑줄 친 ①~⑤ 중 경기가 나빠지는 불경기의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은 몇 번인가?”라는 문제가 나온다면 정답은 ⑤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 문제가 3점짜리로 출제될 수 있어요. 스태그플레이션은 전형적인 복합형 불황입니다. 물가 상승과 실업률 증가는 복합형이기 때문이죠. 물가와 실업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을 보여주고 이 그래프를 부정하는 용어를 본문에서 찾아 쓰라는 주관식 문제를 3점짜리로 낼 수도 있습니다. 정답은 스태그플레이션이죠.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도, 실업률도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 제시문을 기반으로 논술 문제가 출제될 수도 있어요. 정부의 재정 지출과 중앙은행의 통화량 확대를 비판하는 다른 제시문을 주고 두 제시문이 주장하는 공통점(인플레이션)을 기술하라고 요구할 수 있는 거죠. 케인스의 유효수요이론(재정지출 확대)의 뼈대를 제시하고 그 한계를 스태그플레이션에 비춰 지적하라는 논술도 출제될 수 있습니다. 평소 생글을 읽은 학생이라면 척척 써내려 갈 수 있을 겁니다.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