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目前流傳更廣的《七步詩》是出現在《三國演義》和

《世說新語》里描寫同一事件的一首詩:
此詩是經後人更改的,其原詩為出自《三國演義》的《兄弟詩》:

「煮豆持作羹,漉豉以為汁。
萁在釜下燃,豆在釜中泣。
本自同根生,相煎何太急?」

《七步詩》廣為流傳,後來亦出現了「七步之才」、
「七步成詩」等成語。
所以「七步成詩」等成語是形容人的文思敏捷。

詩的不同版本及其真偽由於此事件不見於正史《三國志》,
此詩亦不見於《曹植集》,
有人就認為此事為後人虛構,但正史無載的事不能斷言為虛構。
亦有人認為確有其事,
但現存的《七步詩》為後人偽託。
另有一種說法是《七步詩》有兩首,先一首為:

兩肉齊道行,頭上帶凹骨。
相遇塊山下,郯起相搪突。
二敵不俱剛,一肉臥土窟。
非是力不如,盛氣不洩畢。
 
並認為曹植先作此首,曹丕再出題要曹植再賦詩,
後一首才是《煮豆 》。

這首詩流傳至後世,又出現四句的版本:
「煮豆燃豆萁,豆在釜中泣,本是同根生,相煎何太急。」
並於小說《三國演義》[4],
但《三國演義》所述是應聲而非七步而作。由於
《三國演義》的流傳較《世說新語》為廣。
因此四句的版本比原來六句的版本更為人所熟知。

另外又出現了「煮豆燃萁」這個成語形容手足相殘。


台中維基人聚會正在進行籌備,有興趣者歡迎加入討論。

 

칠보시(七步詩)는 세설신어에 실린 글로서
실화인지 아닌지는 애매하다 하겠습니다.
(세설신어는 한대 말기 부터 남조 유송 시기까지의 명사(名士)들의 일화를 모은 책)

원문을 보면 3수의 詩가 나오는데
원문 서두에 나오는 兄弟詩[형제시]를 한번 보겠습니다.

煮豆持作羹 [자두지작갱] 콩을 삶아 국을 끓이고
漉豉以為汁 [록시이위즙] 된장을 걸러 국물을 낸다.

 

萁在釜下燃 [기재부하연] 콩대는 솥아래서 타고 있고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콩은 솥 안에서 울고 있네
本自同根生 [본자동근생] 원래 한뿌리에서 태어 났는데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어찌 이리도 급히 삶아 대는가?

원문에 언급된 3수의 詩를 당시 상황에 맞춰 배열하여 풀어 보겠습니다.

조비가 동생 조식에게 소 두마리가 싸우는 그림을 가르키며
일곱걸음 내 詩를 짓되 소 우(牛)와 싸울 투(鬪),
이 두 글자를 넣지말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나온 詩가 바로 七步詩[칠보시]입니다.

 

兩肉齊道行 [양육제도행] 두 고기덩이 나란히 길을 가는데
頭上帶凹骨 [두상대요골] 머리에 튀어 나온 뿔들이 있구나
相遇塊山下 [상우괴산하] 흙산 아래에서 서로 만나자
郯起相搪突 [담기상당돌] 거기서 서로 뜨고 받게 되었네. 

 

二敵不俱剛 [이적불구강] 두 마리가 다 같이 강하질 못해
一肉臥土窟 [일육와토굴] 한 고기덩이 흙구덩이에 쓰러졌네
非是力不如 [비시력불여] 이는 힘이 저만 못한 것이 아니라
盛氣不洩畢 [성기불설필] 단번에 다 쏟아내지 못한 탓이라네
 


조식이 일곱걸음 내로 위의 시를 보란 듯이 읊었습니다.

 이미 약속을 했으니 살려줘야지 어쩝니까?
그렇다고 거기서 포기를 하면 조비가 아니지요.

 

며칠 있다가 또 동생을 끌어 다 놓고 설랑은
지금의 네 처지를 생각해서 한수 읊어 보라고 한겁니다.
그때 나온 시가 원문 서두에 나온 兄弟詩입니다.
그니까 칠보시와 관련된 詩 중 두번째 詩로 원문에서는

- 煮豆[자두] 콩을 삶다- 입니다.

煮豆持作羹 [자두지작갱] 콩을 삶아 국을 끓이고
漉豉以為汁 [록시이위즙] 된장을 걸러 국물을 낸다.

 

萁在釜下燃 [기재부하연] 콩대는 솥아래서 타고 있고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콩은 솥 안에서 울고 있네
本自同根生 [본자동근생] 원래 한뿌리에서 태어 났는데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어찌 이리도 급히 삶아 대는가?

우리가 접하고 있는 칠보시는 위의 시에서 1구와 2구를 빼버리고
대중들이 알기 쉽게 오언 절구시로 개작한 것으로 보면 되겠는데

원문의 마지막에 실려있습니다.

 

시의 운(韻)은 측성인 낳을 집(緝)으로

2구의 울 읍(泣), 4구의 급할 급(急)... 측성 운이 됩니다.

煮豆燃豆箕 [자두연두기] 콩깍지를 태워 콩을 삶으니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콩이 솥 안에서 울고 있네
本是同根生 [본시동근생] 본래 한 뿌리에서 태어났는데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어찌 이리도 급히 삶아 대는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