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생의 터닝포인트

★ 전기차 보조금 받는 방법 (2025년 기준) ★

by ☆ 향기야(hyacool) ☆ 2025. 4. 30.
728x90

✅ 전기차 보조금 받는 방법 (2025년 기준)

1. 보조금 신청 전 준비사항

  • 전기차 보조금 예산 확인
    → 구매하려는 **지자체(거주지 기준)**의 보조금 예산이 남아 있는지 확인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 가능
  • 구매 대상 차종 확인
    → 환경부에서 인증한 보조금 지원 가능 차량 목록에 포함되어야 함
    → 이 역시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 가능

2. 차량 구매 절차

  1. 보조금 지원 가능 차량 중 선택
  2. 자동차 판매사와 계약 체결 (구매 신청서 작성)
    → ‘보조금 신청’이 계약서에 포함되어야 함
  3. 판매사가 대행하여 보조금 신청 진행
    → 개인이 직접 신청하는 것이 아니라 판매사가 환경부 시스템을 통해 신청

3. 보조금 심사 및 승인

  • 국고보조금 + 지자체 보조금이 각각 심사됨
  • 심사 후 보조금 지급 승인 통보
  • 승인 이후 차량 등록 가능

4. 차량 등록 및 출고

  • 차량 등록증 제출
  • 차량 출고
  • 보조금은 판매가에서 차감 또는 사후 지급 방식으로 적용됨

5. 의무운행기간 준수 (2년)

  • 전기차는 최소 2년간 운행 의무
    → 중도 폐차 또는 해외 반출 시 보조금 일부 반납

🟦 추가 팁

  • 보조금은 선착순이며, 지자체별로 예산이 빨리 소진되기도 합니다.
  • 개인뿐만 아니라 법인, 지방 공공기관도 신청 가능 (단, 지원 조건이 다름)
  • 2025년부터 보조금 차등제 적용 확대 예정
    → 고가 차량(8천만 원 이상)은 국고보조금이 줄어듭니다.
  • https://hyacool.tistory.com/entry/
  • ============================

 

25년도 전기차 보조금 이미지

✅ 2025년 전기차 보조금 받는 방법 총정리

1. 전기차 보조금이란?

전기차 보조금은 환경부와 각 지자체에서 무공해차(전기차, 수소차 등)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차량 구매 시 일정 금액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보조금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 국고 보조금 (환경부)
  • 지자체 보조금 (시청·군청 등)

국고 보조금은 차종에 따라 정해지며,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별로 다릅니다.


2. 보조금 신청 자격

  • 대한민국 국민 또는 사업자 (개인, 법인, 지방자치단체 등)
  • 해당 연도 전기차 보조금 대상 차종을 구매할 것
  • 구매 후 최소 2년간 의무 운행 조건이 있음 (판매, 폐차, 수출 금지)
  • 1인(1법인)당 1대만 지원 (일부 예외 있음)

3.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

📌 Step 1. 보조금 대상 차종 확인

  •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 https://ev.or.kr
  • 차종별 보조금 금액도 함께 확인 가능

📌 Step 2. 차량 구매 계약

  • 전기차 판매 대리점에서 구매 계약
  • 차량 대금은 보조금을 뺀 금액으로 납부하거나, 대리점에서 선처리 가능

📌 Step 3. 보조금 신청 (판매사 대행)

  • 구매자가 직접 신청하지 않아도 판매사가 온라인으로 신청 대행
  • 신청 후 지자체 심사를 거쳐 보조금 지원 대상자 선정

📌 Step 4. 차량 등록 및 출고

  • 차량 등록 후 보조금 지급 결정
  • 보조금은 구매자 계좌가 아닌 판매사에 직접 입금 (보조금 제외가로 차량 판매됨)

4. 보조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기준 (예시):

차종국고 보조금지자체 보조금 (서울 기준)총 보조금
경형 전기차 (예: 캐스퍼 EV) 약 500만 원 약 200만 원 최대 700만 원
중형 SUV 전기차 (예: 아이오닉 5) 약 650만 원 약 300만 원 최대 950만 원

※ 차량 가격에 따라 보조금 차등 지급
※ 5,700만 원 초과 차량은 보조금 미지원
※ 자세한 금액은 매년 지자체 공고 확인 필요


5. 보조금 관련 유의사항

  • 중고차에는 적용되지 않음
  • 신청 후 출고까지 수개월 소요될 수 있음 (대기 필요)
  • 차량을 2년 내에 팔거나 수출하면 보조금 환수됨
  • 보조금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선착순 아님, 선정 기준 적용)

📍 보조금 신청 팁

  • 구매 전 지자체 공고 확인 필수
  •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상반기 구매 유리
  • 계약 전 차종별 보조금액 반드시 확인
  • 환경부 홈페이지와 지자체 홈페이지 수시 체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