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한시-정직한 선비는 미움을 받는다 

         偶 吟 그냥 생각이 나서 읊어봄

                                 조식(曺植)
                                 1501(연산군 7) ~ 1572(선조 5)

    인지애정사
    人之愛正士     사람들이 바른 선비를 아끼는 것은

    호호피상사
    好虎皮相似     호랑이 털가죽을 좋아함과 같아.

    생즉욕살지
    生則欲殺之     살았을 땐 잡아죽이려 하고

    사후방칭미
    死後方稱美     죽은 뒤엔 아름답다 떠들어대지.


    시는
    한국문집총간 31집 465쪽(남명집 권1)에 실려 있습니다

 

 

 




-고전 한시-(제덕산계정주) 덕산 계정의 기둥에 써붙임 

亭柱 

請看千石鍾(청간천석종) 보게. 저 천석의 종을.

非大구無聲(비대구무성) 크게 치지 않으면 소리가 없잖아.

爭似頭流山(쟁사두류산) 그래도 저 두류산만은 못하지

天鳴猶不鳴(천명유불명)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 산.

 

구(手+口) : 두드리다.  천석종:천 섬 무게의 종.  천 섬의 곡식이 들어가는 크기라고 번역하기도 함. 남명(南冥) 조식(曺植) 선생의 시입니다.
(한국문집총간 31집 464페이지)

 

 

 

   [ 모난 성격 홀로 고상함 지켜 ]          

 

 

             내 모습                                自詠

                              권호문
                                   1532(중종27)~ 1587(선조20)

    모난 성격 홀로 고상함을 지켜         偏性獨高尙

    텅 빈 골짜기에 집 짓고 살지.          卜居空谷中

    숲속엔 벗 찾는 새소리 맑고            전林鳥求友

    섬돌엔 나풀나풀 어여쁜 꽃잎들.      落체花辭叢

    주렴 드니 들에는 지나가는 빗줄기   簾捲野經雨

    옷깃 가득 안겨드는 시원한 냇바람.  襟開溪滿風

    일없이 청아한 한 수 시를 읊으니     淸吟無一事

    구절구절 참 이렇게 한가로울 수가.  句句是閑功

     * 전(口+轉), 체(石+切)

     

                                                     

 

                                                          

 

      

     花園帶鋤 (화원대서)  꽃밭에 호미 메고

                                        강희맹 姜希孟
                                               1424(세종6) ~ 1483(성종14)

 

    荷鋤入花底 (하서입화저) 호미 메고 꽃 속에 들어가

    理荒乘暮回 (이황승모회) 김을 매고 저물녁에 돌아오네.

    淸泉可濯足 (청천가탁족) 맑은 물이 발 씻기에 참 좋으니

    石眼林中開 (석안림중개) 샘이 숲속 돌틈에서 솟아나오네.

     

                                                           

 

 

기인(寄人)그 사람에게/장필(張泌) 


別夢依依到謝家(별몽의의도사가) :

이별의 꿈이 너무 절절하여 그녀 집을 찾으니



小廊廻合曲闌斜(소랑회합곡란사) :

작은 회랑을 지나서니 둥근 난간이라



多情只有春庭月(다정지유춘정월) :

그래도 다정한 것은 봄 뜰의 달빛이네



猶爲離人照花落(유위이인조화락) :

이별하는 사람 위해 지는 꽃을 비쳐주네

 



*謝家:이덕유가 기생 사추랑을 추도한 글을 지은 데서 “妓房”을 의미

+ Recent posts